카테고리 없음

하늘이 파란 이유는 무엇일까?

백당 - 백세까지 당당하게! 2016. 7. 28. 03:43

학교에서 과학시간에 다룬 내용인데, 가물가물하다, 그래서 자료를 찾던 중 좋은 블러그를 만났다. '별빛 유랑단'에서 옮겨왔다. 감사합니다.


★ 하늘이 파란 이유 ★ 

※ 하늘이 파란 이유는? 빛의 산란!


-​빛의 산란 : 불규칙하게 분포하고 있는 아주 자그만한 입자(미세 입자)에 빛이 닿으면

빛은 사방팔방으로 흩어집니다. 이 현상을 "산란"이라고 합니다.

-아래의 사진 속 빛줄기 또한 대기 중의 먼지 등에 의해 산란이 일어나 보이는 현상이다.


사진출처-http://callisto.tistory.com/50  photo by 유강희 님


※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과정

-​대기는 투명하지만, 실은 공기 분자가 태양광을 미세하게 산란시키고 있다.

-공기 분자로 인한 산란은 빛의 파장이 짧을수록 잘 일어납니다.

-눈에 보이는 빛을 가시광선이라고 하는데 가시광선은 색깔마다 파장의 길이가 다릅니다.



사진출처-http://www.science.go.kr/boardRead.bs?dataSid=3128&boardId=SCI_SCILAB&searchType=all&searchText=&pNum=2

-빨간색일수록 파장이 길고, 보라색일수록 파장이 짧습니다.

-태양 빛 가운데 보라색이나 파란색 빛이 산란되기 쉬운 것입니다.

-빨간색 빛은 산란되기가 어려워 곧바로 지상에 도달한다.

-반면 파란색과 보라색 빛이 공기 분자에 부딪쳐서 사방팔방으로 흩어지게 됩니다.

-그 결과 하늘의 어느 방향을 보아도, 파란색이나 보라색 빛이 눈에 들어오게 됩니다.



※ 보라색보다 파란색으로 보이는 이유

-파장이 짧은 파란 빛과 보라색 빛이 산란이 되어 우리 눈에 들어옵니다.

-그러나 파란색과 보라색 중에서 우리 눈에는 파란색을 더 잘 받아들입니다.

-그 결과 하늘이 보라색 빛보다는 파란색 빛으로 보이게 됩니다.

 

사진출처-http://www.scienceall.com/edu/nextgenbook.sca?todo=articleView&articleid=242401

 

※요약 : 눈에 보이지 않는 공기 분자들에 의해 일어나는 빛의 산란 때문에 파장이 짧은

파란색과 보라색 빛이 눈에 들어오는데 파란색 빛을 눈이 더 잘 받아들여 파란색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