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설이 좋아 고맙기도 하고요.” 전북 김제시 하동 1만 9천여 평에 조성된 노인종합복지타운에 살고 있는 김희철 (77세, 가명), 임분녀(74세, 가명) 씨 부부의 말이다. 이 부부는 시골에서 40마지기 로 농사를 짓다 일부를 처분해 이곳에 들어왔다. 나머지 논은 아들에게 맡겼다. 이 곳 게이트볼 회장이기도 한 김씨 부부는 오후에는 회원 70명과 함께 게이트볼 경 기를 한다. 큰 무리가 없고 정신을 집중하면서 계속 걸어야 하는 이 운동은 노인들 에게 안성맞춤이다. 세 경기 정도를 하면 어느새 1시간 반이 후딱 지나간다. 지방자치단체와 민간 기업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노인종합복지타운은 대표적인 은퇴자마을로 성공적으로 정착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주변 환경이 좋고 땅값 이 저렴한 지역에서 정부와 지자체는 기반조성과 공공시설을 건설해주고 민간 기 업은 주택건설을 맡아 임대하는 방식이다. 덕분에 입 주자들은 관리 인건비가 들지 않는다. 5층짜리 연립주택식 전용주택과 종합복지관, 전문 요양원, 야외공연장, 일거리마련센터, 실내게이트볼장 등을 갖춘 복지관에는 헬스클럽, 물리치료실, 취미생 활실, 문화생활실 등이 마련돼 있어 입주 노인들이 건 강관리와 취미생활을 하는 데 불편함이 없다. 이곳에 는 현재 60~80대의 입주자 189명이 거주하고 있는데, 대부분 농부 출신이고 회사원과 공무원, 교사, 군인 출 신도 다수를 차지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급속한 고령화와 전통적인 가족의 해체로 남은 생을 자연의 품 안에서 아름답게 가꿔나 가려는 이들이 부쩍 늘고 있다. 하지만 막상 편안한 도 시생활을 버리고 시골에 가서 농사짓고 살자니 이 또 한 만만치 않아 결정을 내리기가 쉽진 않다. 이런 이유로 정부는 도시에 거주하는 퇴직 중산층 시민을 농촌에 정착시켜 삶을 풍요롭고 윤택하게 하며 건강도 지켜나갈 수 있는‘은퇴자마을’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은퇴자마을’은 한마디로 도시와 농촌의고령층이 호젓한 곳에 살면서 수준 높은 주거환경 및 복지를 누리도록 하는 방안 이다. 이 마을은 건강·풍요·행복 등을 가치로 삼아 단지 내 녹지비율을 높이고 의료시설 연계시스템과 취미·여가·자원봉사 프로그램 등을 갖춘 웰빙형 친환 경적 주거단지로 개발된다. |
![]() |
지금부터라도 은퇴자를 위한 전원마을에 입주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만하다. 자연과 함께 할 뿐 아니라, 비슷한 처지에 있는 이웃과 함께 생활 하면서 떨어져 살 때 부딪칠 수 있는 위험 상황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은퇴자마을과 관련한 사회적 여건과 관심도 날로 개선되고 있다. 현재 운영중이거나 확장을 계속하고 있는 은퇴자 마을 중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다섯 곳을 살펴본다. |
![]() |
|
![]() |
올해 들어 정부에‘남해귀향마을특구’지정을 신청하면서 국내 도시의 은퇴자들이 살만한 전원속의 도시형 공간도 마련한다. 은퇴자들의 주거공간과 함께 가족이나 관광객들이 묵을 수 있는 숙박시설도 만들 계획이다. 더불어 2인 이상 세대가 남해군에 전입하면 소정의 지원금과 주택수선비를 지급하고 빈집도 알선해준다. |
![]() |
모든 입주자가 농장 일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선택에 따라 콩이나 토마토 같은 농산물을 키우거나 염소를 사육하는 일, 유기농산물 소포장 등의 일을 하고 각자 일한 만큼의 소득을 올린다. 소득수준은 적게는 월 5만원에서 많게는 50만 원 선까지.독신 입주자가 다수인 이곳에서 농장 일을 하는 가구는 반 정도인데, 전문 농업인이 강도가 센 일은 지원해주기 때문에 일에 대한 부담도 한층 적다. 보증금은 2,500~5,000만 원 선이다. |
![]() |
호수가 내려다 보이는 아름다운 전원뿐만 아니라 미리내 성지와 불과 10분 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순교자의 정신을 접할 기회를 자주 가질 수 있으며, 체계적인 건강관리와 문화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주거환경도 함께 조성되어 있다. 교회 안팎의 덕스런 강사님들을 모셔 신심 및 교양으로 가득 찬 취미생활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사적 임의단체가 아닌 국가가 보증하는 사회복지 법인 오로지 종합 복지원에서 설립한 시설이므로 자녀분들도 부모님의 편안한 노후생활을 믿고 맡길 수 있다. |
![]() |
유실수 단지와 아담한 동물농원, 산책로 등이 생활의 여유를 더할 뿐 아니라, 도예나 목공예, 회화 같은 문화생활을 위한 공간도 준비되어 있다. 은퇴자들의 건강관리를 위해 배드민턴장, 게이트볼장, 조깅 코스 등 여러 체력단련 시설도 마련했고, 최근에는 염소나 닭을 사육할 수 있는 방목장과 팔각정도 새로 조성했다. 7평형부터 13평형의 주택 31세대가 마련되어 있으며, 5천만~1억2천5백만 원의 보증금 전액을 내고 매월 식비만 지급하는 방식과 일부의 보증금을 내는 대신 생활유지비와 식비를 매월 지급하는 방식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출처 : 꿈꾸는 유람선
글쓴이 : 찾는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