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뉴질랜드의 역사는 700년 전 폴리네시아인들에 의해 발견된 후 시작되었다. 그들이 정착한 후 토지와 혈족 관계를 중심으로 한 마오리족 문화가 자리잡았다. 첫 유럽 탐험가가 1642년 뉴질랜드에 도착했고, 18세기 이후부터 탐험가, 항해사, 상인, 모험가들이 꾸준히 방문하였다. 1840년, 영국과 마오리 추장들 사이에 와이탕이 조약이 서명되면서, 뉴질랜드는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고 마오리 사람들은 영국 국민으로서의 권리를 인정받았다. 20세기 부터는 유럽과 아시아 이민자들이 급증하였다. 전쟁을 거치고 유럽식 경제, 법률이 들어서면서 많은 마오리 소유의 토지들이 파케하(유럽 정부)의 소유로 넘어갔고, 대다수의 마오리들이 힘을 잃고 말았다.
폴리네시아인의 정착
뉴질랜드에 처음 정착한 폴리네시아인들은 폴리네시아의 동쪽으로부터 온 것으로, 이것은 DNA 검사 결과 약간의 멜라네시아인의 특징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대체적으로 첫 정착민은 1000년과 1300년대경 사이에 온 것으로 추정된다. 이 정착민들의 후손들은 이후 마오리로 알려지게 되었고, 뚜렷한 고유의 문화를 형성하였다.
뉴질랜드를 처음으로 찾은 유럽인은 1642년 남섬 서해안에 도착한 네덜란드의 아벌 타스만(Abel Janszoon Tasman)이었다. 그는 이곳을 네덜란드에 위치한 제일란트 주의 이름을 따서 '노바젤란디아'라고 명명하였으며, 뉴질랜드는 이 말의 영어식 번역이다.
타스만 이후 뉴질랜드를 찾은 사람은 영국의 탐험가 제임스 쿡(James Cook) 선장이었다. 쿡 선장은 1769년에서 1777년에 걸쳐 여러 차례 이 지역을 답사하였다. 이어 1814년 런던에서 선교사가 와서 기독교 교회를 시작하였다.
그 무렵 이곳은 오스트레일리아의 뉴사우스웨일스 주에 속한 식민지로서, 고래와 바다표범잡이의 기지로 이용되고 있었고, 카우리 나무를 벌채하기 위해서, 또한 물개의 모피를 찾기 위해서 상인들이 도래하게 되었다.
주변 풍경이 단조롭다. 하늘에 떠있는 구름마저 .....!
이곳의 명물 폭포를 찾아 떠났다.
이게 무엇일까? 어떻게.....!
가까이 가보니 분명 돌탑은 돌탑인데....! 일럴수가...! 감탄만 나온다.
subway가 지하철이 아니다. 배고프면 들려라!
점심먹으러 들렸는데.....
주문한 야채를 넣어 즉석에서 만들어 준다.
포장지에 꽁꽁싸매어 주는데.... 야채가 많이 들었다.
view point로 가보자
물보라가 튀긴다. 맑고 맑은 하늘과 흩어지는 물방울이 안개처럼 날린다.
숲속으로 난 길을 따라 걸어본다. 1시간동안만....허락을 받고서!
뉴질랜드에 와서 오랫만에 흙을 밟아 보는 느낌이랄까! 오클랜드에서는 흙이 신발에 붙지않았었다.
교량 공사도 철저한 듯했다. 받치고 있는 축대도 사진 그대로다. 안전성이 우선이라는 뉴질랜드!
숲속에 있는 그림같은 집이다. 자! 여기서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