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어느 효자의 지혜

▒▒▒ 어느 효자의 지혜 ▒▒▒

		
며느리의 구박으로 음식을 제때에 얻어 먹지 못한 
시모(媤母)는 영양실조(營養失調)에 걸려
방구석에 누워 있기만 했다. 
< 아이구 ! 저 노인네가 죽지도 않고 남의 속만 태운다. >
며느리의 잔소리와 구박(毆縛)은 
날로 심했고 어머니는 건강이 말이 아니었다.
실은 어머니가 건강만 하다면 온갖 집안일 들을 
도와 줄 수가 있는데도 
그것을 모르는 며느리의 불효(不孝) 
행각(行脚)은 정말 가소롭기만 하다.
이를 보다 못한 아들이 드디어 멋진
<아이디어>를 생각해냈다. 
홀어머니를 모시는 아들에게는 어머니편
도 아내편도 어느 한쪽을 편견 할 수 없는 
그들만이 겪는 고민이 있는 건 사실이다. 
대개 못난 사람들은 자기의 아내 편을 드는
수가 많다. 
그런데도 이 아들은 그렇지를 않았으니
효자(孝子)라고 해야 옳을 것 같다.
하루는 아내를 조용히 불렀다.
< 여보 !. 당신이 어머님 때문에 무척 
속을 삭이는데 좋은 수가 있다네. >
< 어떻게 ? 무슨 ! >
< 오늘 내가 퇴근하면서 경동 시장(市場)을 갔더니 
늙은 노인네들을 팔고 있더군. >
< 그래요. 여보! 참 잘 됐네요. 
우리도 어머님을 내다 팝시다. >
< 당신도 그런 생각을 했소 ?.
나도 그렇게 할 작정이요. > 
이렇게 해서 두 사람은 어머니를 
시장에 내다 팔기로 결정했다.
<그런데 . 여보 !. 값은 뚱뚱하고 
살찐 노인네는 한없이 비싸고 
강파르고 병든 이는 똥값이더라. 
우리 어머니는 팔아 봤자 돈은 얼마 안 될 걸세 > 
< 여보 ! 그렇다면 우리 어머니도 살 지워 팝시다. > 
아내는 그만 돈에 눈이 멀어 살 지워 팔 생각으로 
온갖 맛있는 음식을 어머니에게 대접하기 시작하였다.
얼마 안 가서 어머니는 토실토실 살이 지고 
기력도 회복(回復)되어 그냥 놀지를 않았다. 
방이며 마루며 거실. 그리고 부엌까지 온갖 집안일들을 
깨끗하게 해치우는 어머니를 본 며느리는 
그만 마음이 달라졌다.
어머니 마음도 편하고 며느리도 
어머니가 소중하게 여겨졌다.
어느 날 저녁 잠자리에든 남편은 
아내의 내심을 떠보려고 
< 여보 ! 우리 이젠 어머니를 팝시다. >
라고 했더니
아내는 < 안 팔아요 ! >하더란 것.
못된 아내의 심리를 잘 이용해서 
효자의 길로 가는 
지혜로운 남편의 꽤는 
우리 모두 본받을 만 한 이야기다. 
[추포의 <엣세이> 에서]
 
출처 : 어린왕자의 사랑 마을
글쓴이 : 에이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