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자유게시판/건강이야기

[스크랩] 내 뱃살, 제대로 알아야 빠진다.

내 뱃살, 제대로 알아야 빠진다.

뱃살이라고 다 똑같지 않다. 옆구리에 살이 붙었는지, 앞쪽에 살이 붙었는지 또 윗배 비만인지, 아랫배 비만인지. 살찌는 부위가 다른 만큼 그 원인과 해결방법도 다르다. 뱃살을 빼기 전에 내 뱃살의 유형이 어떤 상태인지 정확한 판단을 하고 살을 빼는것이 성공의 지름길.

 

윗배가 볼록한 경우

▣ 원인 : 폭식과 과식을 자주 하는 사람에게 많이 나타난다.
불규칙한 식사로 과식을 하게 되고, 자연히 위가 늘어나 먹는 양이 늘어나면서 다시 과식을 하게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또 위염 등의 위질환을 앓는 사람은 팔다리는 가늘고 윗배만 볼록

튀어나온 경우가 대부분이다. 팔과 다리 등에 있는 피하지방과는 달리 내장에 지방이 쌓이게 되는 것. 이런 내장 비만은 심하면 고혈압이나 간질환, 당뇨병과 같은 성인병에 걸릴 확률도 높아진다.

 

대책 : 철저한 식이요법이 필요하다.

일단 식사시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또 식사시에도 일정량 이상 먹지 않도록 주의한다. 내장 비만의 경우 복근 운동만으로 지방을 분해할 수 없기 때문에 운동과 식이요법이 병행되어야 한다.

 

피해야 할 음식 :

맵고 짠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고, 살코기 등 기름기가 적은 부위를 먹도록 한다.
또 기름에 튀긴 음식을 피하고 야채나 과일 등 식이섬유를 많이 섭취해 내장의 기름기와 콜레스테롤을 흡수하도록 한다.

 

 아랫배가 볼록한 경우

▣ 원인 : 아랫배는 변비가 심하고 활동량이 적은 사람들에게 많이 나타난다.
밤늦게 먹는 열량이 중성지방으로 복부에 저장된다. 아랫배에 가스가 차거나 변비가 심하면 대장 운동이
원활하지 못해 아랫배가 더 나오게 된다. 또 여자는 남자와 다리 피하지방이 축적되기 쉽고 축적된 피하지방은 점차로 딱딱해져 복부에 셀룰라이트가 생기기도 한다.

 

▣ 대책 : 활동량을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걷기.수영.자전거 타기 같은 유산소 운동으로 지방을 연소하고, 셀룰라이트가 생겨 울퉁불퉁한 아랫배를
마사지해 준다. 또 아랫배 비만의 근본적인 원인인 변비 해소를 위해 요구르트 등 유산균이나 식이섬유를 충분히 섭취한다.

 

▣ 피해야 할 음식 : 빵, 술, 고기 등 식이섬유가 전혀 없는 음식은 피해야 한다.
또 알칼리성 음식은 산성체질을 알칼리성 체질로 바꿔주어 살이 찌는 것을 막아준다.
따라서 해조류 같은 알칼리성 음식을 많이 섭치하는 것이 좋다.

 

 옆구리와 아랫배가 볼록한 경우

▣ 원인 : 배 전체가 나온 타입은 어릴 적부터 살이 찐 경우거나 복부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살이 찐 경우다. 또 활동량이 많지 않아 근육이 적고, 몸의 탄력을 잃어 옆구리와 배 전체가 출렁거리기도 한다.

 

▣ 대책 : 복부 뿐만 아니라 전신 운동이 필수적이다. 운동요법과 식이요법을 병행하고 전체적인 체중 감량을 먼저 생각해야 한다. 폭식이나 과식을 삼가고, 비만 전문가와 상담해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처방받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또 곡물과 야채위주로 식사를 하고 할 1500~2000kcal를 넘지 않도록 한다.

 

▣ 피해야 할 음식 : 패스트푸드나 탄산음료, 설탕이 많이 들어간 음시을 피하고 육류 대신 생선, 콩, 두부 등 단백질 위주로 식사를 하도록 한다. 운동은 최소 3개월에서 6개월 이상 꾸준히 하는 것이 좋다.
 

         

 

  

 

 

                                                      

                                   뱃살 통통 프로그램               부위별 다이어트 세트

 

 

 

허벌라이프 전문 쇼핑몰  지아이걸  바로가기

 

 

출처 : 지아이걸 Gi-girl~★
글쓴이 : 지아이걸 원글보기
메모 :

'* 자유게시판 > 건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의 의미  (0) 2009.05.25
간염A,B형의 차이는?  (0) 2009.05.18
남자들의 뱃살빼기  (0) 2009.05.18
매운걸 먹고 싶다?  (0) 2009.05.18
[스크랩] 암예방 14개 권장 사항  (0) 2009.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