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학년도
교장이 되기 위한 조건 연수자료
( 진짜 편집 완성 되었습니다. 참고 하시길)
탈지・오자・띄어쓰기 보시는 분이 정리 하십시오
최 종 환
목 차
1. Great & Good교장이 되기 위한 조건 |
1 |
2. 교장에게 참고가 되는 敎育斷想 80선 |
1 |
3. 敎育者가 알아야 할 敎育名言 80選 |
5 |
4. 健康을 지켜 주는 明言 30選 |
8 |
5. 교육지표, 집약표어 60선 |
9 |
6. 창녕동포에서 강팔중 교장 선생님 말씀(1983~1984) |
12 |
7. 낙 수 |
15 |
8. 2008 교장 멘토링 연수 (창원 용남초) |
17 |
9. DISC 행동유형 자기분석표 |
37 |
10. 최고의 교수법 |
41 |
11. 교사론 |
46 |
12. 교직의 위기관리 |
48 |
13. 직장내의 적 좀비족 |
50 |
14. 관리자와 리더의 차이점 |
51 |
15 퇴직교장의 조언 |
52 |
16. 교장이 기대하는 교감 복무자세 |
54 |
17. 좋은 교육과 좋은 학교 |
56 |
18. 고스톱 40계명 해설 |
57 |
19. 학교경영 제안서 |
60 |
20. 미래가 요구하는 학교장의 역할 |
76 |
21. 취임사 |
83 |
22. 3월2일 할일 보기 ‘예’ |
93 |
23. 합리적인 의사결정 |
96 |
24. 수요자가 만족하는 교육 |
101 |
25. 교장의 리더십 |
108 |
26. 창의적인 학교경영 실현을 위한 교장의 역할 |
111 |
27. 학교장의 교육과정 리더십 |
113 |
28. 지역수준의 교육과정 편성 |
115 |
29. 현실요법(생활지도) |
118 |
1. Great & Good교장이 되기 위한 조건
A. PS CEO (prestige school CEO)가 가져야 할 배(schip) 3원칙
첫째, 리더십(Leadership)
① ‘왜?(타당성)’란 물음에 정답을 말 할 수 있는 능력
② 사람을 볼 줄 알고 키울 줄 알고 활용할 줄 아는 능력
③ 한 발 앞서 정보를 습득하고 트렌드와 동행할 수 있는 능력
④ 의사결정 과정에서 상대방을 설득하고 승복시킬 수 있는 능력
⑤ 변화와 혁신을 선도하고 화합과 결속을 이뤄 낼 수 있는 능력
둘째, 헤드십(Headship)으로 ①통합과 조정 능력 ②위기관리 능력③혜안과 통찰 능력]
셋째, 멤버십(Membership)
①교직원을 동료이자 가족 개념으로 포용하여 사생활에 대해서도 부단히 관심을 가져주고 배려하는 능력
② 학부모, 동창회, 운영위원회, 지역사회, 유관기관, 관내 교장들과도 유대를 강화하고 지속적으로 원만한 관계를 유지 관리하는 능력
B. 리더십(Leadership)의 유형
① 서번트 리더십 - 봉사와 섬김의 리더십
② 프랜드 리더십 - 동료, 동반자, 동행의 리더십
③ 세종대왕 리더십 - 한글창제의 마음과 같은 역지사지(易地思之)의 리더십
④ 창조적 리더십 - 무함마드 국왕처럼 꿈과 열정으로 역동적인 에너지를 창출하는 리더십
⑤ 글로벌 리더십 - 창의성과 유연성 , 미래를 내다보는 혜안(慧眼)과 비변이 있는 리더십
⑥ 브랜드 리더십 - 차별화된 가치(Value), 꿈(Dream), 판타자(Fantasy)를 중시하는 리더십
⑦ 들무새 리더십 - 구성원들이 소신껏 어려움이 일을 할 수 있도록 뒤에서 도와주는 리더십
⑧ 파이프 리더십 - 내외, 상하, 좌우로 막힘이 없는 전바위 소통 리더십
⑨ 이멜드 리더십 - 가끔 “그냥 시키는 대로 해” 할 정돈의 단호하고 확신이 찬 카리스마 리더십
⑩ 심장 리더십 - 타오르는 정열 뜨거운 사랑으로 감동을 안겨주고 이끌어가는 리더십
⑪ 360 리더십 - 매사를 자연순리에 따라 원만하게 처리하는 원(圓=宇宙心)과 같은 리더십
⑫ 매지티지 리더십 - 합리적 고급(명품) 소비(복지)로 구성원들 스스로 만족과 자부심, 주인정신을 갖도록 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키는 행복전도사 리더십
⑬ 기타 : 여성리더십, 칼라리더십, 통합리더십, 이미지리더십, 협상리더십, 밸류리더십, 휴먼리더십 등
2. 교장에게 참고가 되는 敎育斷想 80선
1. ‘교장’은 교육자라면 누구나 해 보고 싶은 지고(至高)의 직위다.
* 속된말로 교장은 “누가 알까 무섭다.” 할 정도로 정말 좋은 공직자리다.
2. 명품학교를 만드는 교장은 일류이고 짝퉁을 만드는 교장은 이류이며, 짝퉁도 못만드는 교장은 삼류다.
3. 사람들은 대부분 ‘말’ 사면 종 부리고 싶어 한다.
4. 남들보다 앞서려면 머리가 좋던지 잠을 덜 자든지 둘 중 하나는 해야 한다.
5. 자기 자신을 이끌려면 머리를 사용하고 다른 사람을 이끌려면 가슴을 사용하라
6. 만일 당신이 비밀을 바람에게 털어놓았다면, 그것을 바람이 나무에게 털어놓았다고 원망해서는 안 된다.(카릴 지브란)
7. 국외자(局外者-第3者)는 명분과 원칙을 중시하지만 당사자는 실리와 실제를 중시한다.
8. 반대도 때론 필요하다. 연을 높이 날리는 데 역풍이 있어야 하듯이...
9. 인간이 삶 속에서 얻고자 하는 것, 성취하고자 하는 것은 의심의 여지없이 바로 행복이다.
10. 인간의 행・ 불행은 상대적 우월감과 박탈감에 의해 좌우된다.(프로이트)
11. 인간은 자신과 가까운 대상으로부터 느끼는 열등감에 더 괴로워하는 존재다.(소설가 알랭드 보통)
12. 낮에는 너무 바빠 근심이 없고, 밤에는 너무 졸려 걱정할 겨를이 없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다.(엔로 비아그)
13.인간에게는 두 가지 충동이 있다. 하나는 창조충동이고, 다른 하나는 소유충동인데 인간의 진정한 행복은 창조충동을 계발하고 강조하는 데 있다.(버트런트 러셀)
14. 진정으로 유능한 지도자는 젊은이에게 원숙을, 중년일 경우는 자신감을, 그리고 늙은이에게는 젊음을 느끼게 한다.
15. 연애와 연설은 같다. 어떤 바보라도 시작할 수 있으나 끝마무리를 짓는 데는 rJO 기술이 필요하다.(맨로그래프트 경)
16. 남을 돕는다는 것은 우산을 들어주는 것이 아니라 함께 비를 맞는 것이다.
17. 대부분 성공한 사람들은 우선순위 높은 순서로 일을 진행시키고 본질적인 문제 몇 가지에 힘을 쏟는다. 또 그들은 20%의 시간에 80%를 달성할 수 있는 ‘파레토 법칙’도 중시한다.
18. 여자는 자기를 알아주는 사람을 위해 몸을 바치고, 남자는 자기를 알아주는 사람을 이해 목숨을 바친다.
19. 미모를 갖춘 여자에겐 지성을, 지성을 갖춘 여자에겐 미모를 칭찬하라(카사노바)
20. 성공 가능성이 있는 사람은 남보다 더 노력하는 사람이다. 그러나, 성공하는 사람은 남보다 더 노력하면서 즐기는 사람이다.
21. 아는 사람은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좋아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만 못하다.
22. 어느 집단에서든 사람들을 결속시키는 힘은 대체로 두 가지다. 하나는 에너지이며, 가른 하나는 상대방의 목표에 관심을 기울여 주는 정신적 에너지다.
23. “~해 줄 수 있어요?”보다는 “~가 꼭 필요해요!”라고 절박하게 표현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24. 좋은 이미지가 경쟁력이다. 따라서 인사는 다른 사람보다 1초 빠르게 하는 것이 좋다.
첫 만남에서 상대방을 판단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3초에 불과하다.
25. 반갑게 먼저 손을 내 밀면 상대에게 강한 첫 인상을 남긴다.
26. 나무가 자신을 위해서 그늘을 만들지 못하는 것처럼 우리는 혼자서는 어Es 행복도 만들지 못한다.(고도원의 아침편지에서)
27. 인생은 원래 공평하지 못하다. 그런 현실에 불평 할 생각말고 그냥 받아들여라(빌게이츠)
28. 사랑은 누구에게나 배운다. 부족한 사람은 부족함을, 넘치는 사람에게는 넘침을 배운다.
29. 진정한 리더십이란 모든 책임을 내가 지는 것이다.(트루먼 대통령)
30. 부자를 알아야 부자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부자가 되려면 부자에게 점심을 사라.
31. 아부는 원활한 인간관계의 윤활유 이자 인생의 실용적 지혜이다.
32. 협상은 입장이나 의견, 이해관계가 서로 대립하는 쌍방이 문제해결을 위해 시도하는 ‘커뮤니케이션’으로 정의 되지만, 좀더 쉽게 풀이하면 ‘안됩니다’를 ‘좋습니다’로 바꾸는 기술이다.
33. 인간관계 (특히 고품격 인간관계)를 잘하면 인생의 성공은 80% 이상 보장된 것이나 마찬가지다.
34. 내가누구인지 알아 낼 최상의 방법은 타인의 시각으로 나 자신을 바라보는 것이다.
35. “옛날에는 ....”이라고 말하는 사람은 타인의 시각으로 나 자신을 바라보는 것이다.
36. 오늘을 최고로 잘 사는 길은 오늘 일어나는 변화를 언제나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37. 삶은 모험을 빼면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
38. 항구에 묶어 둔 배는 안전하다. 그러나 배는 항구에 묶어 두려고 만든 것이 아니다.
39. 어려운 이웃에게 따뜻한 말 한마디는 고통을 치유하는 양약이 되며, 마음과 마음을 이어주는 가교가 된다.
40. 플라시보호과나 피그말리온효과처럼 우리의 생각을 잘 다스리면 감정이 조절되어 내가 하는 일마다 잘 된다.(무지게 원리)
41. 남에게 손가락질할 때 세 개의 손가락은 항상 자기 자신을 가리키고 있음을 잊지말라.
42. 나이가 들면 손이 두개라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한손은 나 자신을 돕는 손이고, 다른 한손은 다른 사람을 돕는 손이다.
43. 친절이란 귀먹은 사람이 들을 수 있고, 눈먼 사람이 볼수 있는 언어이다.(마크 트웨인)
44. 내가 없어도 잘 돌아가는 직장, 가정(조직체), 은 허무하고, 내가 있어야 잘 되는 직장이나 가정은 자긍심이 충만하고 살맛이 난다.(차동엽 신부의 방송특강)
45. 생각을 바꾸면 행동이 바뀌고, 행동이 바뀌면 성격이 바뀌고, 생각이 바뀌면 인생이 바뀌면, 운명도 달라진다.(김성근 S K 야구감독)
46. 갈등은 대부분 잘못된 의사소통에 있다. 따라서 갈등과 불평은 상대방의 이야기를 들어만 주어도 70%는 저절로 해결된다.(미국 경영학자 피트드레그)
47. 칭찬의 말은 진심에서 우러나오고, 아첨의 말은 이빨사이에서 나온다. 칭찬의 보석을 심어주는 것이라면 비난, 비판, 불평은 사람의 가슴에 비수를 꽂는 것과 같다.(데일 카네기)
48.비난하기보다 이해를 비판하기보다 제안을 불평허기보다 지혜를 모아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것이 좋은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방법이다.(카네기 연구소 박영찬소장)
49. 우리의 인생은 진실되지 않은 것으로 가득차 있다. 서로 잘 아는 두 사람이 10분간 대화를 하면서 보통 2~3개의 거짓말을 한다( 미국 워싱턴 포스터지)
50. 일이 즐거우면 그 인생은 낙원이다. 그러나 괴롭다면 그것은 지옥이다. 그러나 일이란 쉽다고 생각하면 즐겁고 어렵다고 생각하면 괴롭다.
51. 사람은 대부분 지극히 평범하고 일상적인 삶을 산다. 그 이유는 어딘가에 열정을 쏟을 기회를 얻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52. 어떻게 하든지를 아는 사람은 일자리를 알지만, 왜 하는지를 아는 사람은 그 삶을 부리는 것이 된다.
53. 사람이 잘산다는 것은 아무나 할 수 있는 어려운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을 누구보다도 휼륭하게 할 수 있음을 뜻한다.(오재경기독교방송사장)
54. 남을 용서 할 수 없는 사람은 자기가 앞으로 지나가야 할 다리를 파괴하는 사람이다.
55. 비평가의 말에 신경을 쓰지 말라. 비평가를 찬양하는 동상이 세워진 적은 아직 없다.(장 시벨리우스)
56“이상 간단히 제 얘기를 줄이겠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 말씀만 더 드리면....” “ 내가 상관할 일은 아니지만 그러나...”는 앞뒤가 모순된 대표적인 말이다.
57.인재(人才)는 재능을 좀 부족하더라도 인간관계가 원만한 사람을 뜻한다.
58. 봉사는 남에게 베푸는 것 같지만 종국에는 자신을 풍요롭게 하고 스스로를 변화시킨다.(심규섭동아일보편집국장)
59.승자는 실패를 통해 성공에 다가서는 법을 배우고 ,패자는 실패를 통해 성공에서 멀어지는 법을 배운다.
60. 5년이 금방간다는 것을 나는 잘 알고 있다. 괜히 폼 잡다가 망치지 않도록 하겠다.(이명박 당선인)
61. 위대한 예술가도 한 때는 초심자였다.
62. 한사람의 자원자는 억지로 불러온 열사람 보다 낫다.(아프리속담)
63. 만나는 모든 사람에게 무엇인가를 배울 수 있는 사람이 현명한 사람이다.(탈무드)]
64.우리가 지금 이 순간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기만 한다면 바로 지금이 시작하기에 가장 좋은 시간이다.(에머슨0
65. 평범한 스승은 말로하고, 좋은 스승은 설명을 잘하고, 위대한 스승은 모범을 보이고, 위대한 스승은 감화를 준다.
66. 가장 넘기 힘든 산은 마음의 문턱이다(덴마크 속담)
67. 사람이 산에 오르는 목표는 정상에 도달하기 위해서 이고, 산에서 내려오는 이유는 또 다른 산에 오르기 위함이다.
68. 칭찬이 고래를 춤추게 하듯이 비전은 코끼리도 춤추게 한다.
69. 실천 없는 이론은 생명이 없고, 이론이 없는 실천은 혼이 없다.
70. 산을 바라보는 사람은 아름답습니다. 바다를 바라보는 사람도 아름답습니다. 따뜻한 눈으로 사람을 바라보는 사람은 더욱 아름답습니다.(고은님의 창작글)
71. 글러벌시대, 정보화사회에서는 ‘무엇을 아느냐’ 보다 ‘누구를 아느냐’가 더 중요하다.
72. 인맥은 ‘정보의 금맥’으로 나보다 앞서간 사람, 혹은 다른 길을 간 사람을 통해 새로운 것을 배우고 시행착오를 줄이는 지혜를 얻을 수 있다.
73. 유머는 일상생활의 비타민으로 하면 할수록 늘고, 립 서비스는 최소의 투자로 최고의 보상을 받는 최상의 상품이다.
74. 보통 사람들은 재미있게 살기위해서 거짓(허구)들이 모여서 사람을 웃기는 쇼에 열광한다. 유능한 교장은 즐거운 학교를 만들기 위해 때로는 선의의 하얀 거짓말도 해야 한다.
75. 부지런하고 지혜로운 사람은 당하기 전에 미리 대비하고, 게으르고 미련한 사람은 당하고 난 다음에 후회를 한다.
76. 책 속에 여백이 없이 글자만으로 빼곡히 들어찼다면 우리는 도저히 책을 읽을 수 없을 것이다. 책의 여백 이것이 바로 인생에서 웃음이다.(방송작가 신상훈)
77. 우리는 적어도 매일 한 편의 시를 읽고, 한곡의 노래를 듣고, 한폭의 그림을 감상해야 한다.(괴테)
78.나는 어릴 때부터 시와 함께 살았으며 지금도 시를 통해 영감과 상상력을 얻는다.(두바이세이크 무함마드국왕)
79. 경영자가 꼭 알아두어야 할 ‘4字成語’와‘故事成語’
① 선공후사(先公後私) ②과존불급(過존 不及)③ 불왕불급(不狂不及) ④자업자득(自業自得)
⑤ 역지사지(易地思之) ⑥회자정리(會者定離) ⑦ 청출어람(靑出於藍) ⑧소빈대실(小貧大失)
⑨ 호사다마(好事多魔 )⑩근자지소행(近者之所行) ⑪ 덕불고필유린(德不 孤必有隣)
⑫ 삼인행필유아사(三人行必有我師) ⑬ 적선지가필유여경(積善之家必有餘慶)
⑭ 인감만사세옹지마(人間萬事塞翁之馬) ⑮ 천사불여일행(千思不如一行)
⑯ 백문이불여일견(百聞而不如一見) ⑰ 백견이불여일각(百見而不如一覺)
⑱ 백각이불여일행(百覺而不如一行)
3. 敎育者가 알아야 할 敎育名言 80選
1. 敎育은 人性과 能力을 다듬고 키우는 활동이다.
2. 敎育은 智德體를 조화롭게 다듬는 계획이다.
3. 敎育은 目的은 學習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존나이스빗)
4. 교육은 인류를 거듭나게 하는 선한 싸움을 몸소 실천하는 것이다.(테레사,슈바이처)
5. 교육은 스스로 일어나도록 돕는 일이다. 그런데 교육이 실패하는 이유는 간섭과 돕는 일을 구분 못해서이다.
6. 교육은 자기스스로 또는 타율에 의해서 나를 사람답게 다듬는 것이다.
7. 교육은 너, 나와의 관계를 지어주고 우리를 하나의 공동체로 의식해 가도록 이끌어 \주는 작용이다.
8. 교육은 영혼을 위한 역사이다. “교육은 눈물이고 눈물은 사랑을 낳기에..”
9. 교육은 강한 淵源(연원)을 이루는 잎새에 맺힌 이슬에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산 교육은 “의식의 강가에 사람 세우기”로 물소리, 바람소리, 낙엽 뒹구는 소리에 귀 기울이는 것이다.(윤동주)_
10.敎育의 生命力은 智慧의 완성이아니라 餘白에 있다. 그 餘白을 스스로 創意的으로 채우는 일이 敎育의 本質追求이다(탈무드)
11.敎育은 過去指向이아니라 未來指向이다. 그런데도 끊임없이 미래를 강조하는 것은 교육에는 과거지향적 屬性(속성)에 있기 때문이다.
12. 敎育은 共嗎(공마)의 효과다. 산울림도 共嗎 이듯이....
13. 옛날의 교육은“쉬운 것을 어렵게, 어려운 것은 모르게”가르쳤다면 오늘날은 그반대로 하면 된다. “어려운 것을 쉽게,
14. 교육은 배우게 하는 일이다. 그러나 배우게 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가르치는 대로 배우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잘 배우도록 마음을 잡아주는 일이야 말로 선생님이 해야할 가장 중요한 일이다.
15. 교육은 세상만사가 고르지 않고 불공평하고 불평등하다는 것을 냉엄히 받아들이도록 가르치고 이러한 운명을 스스로 극복해 나가는 노력의 과정이다.
16. 교육에서 “공부를 얼마나 했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무엇을 어떻게 공부 했느냐”가 더 중요하다 얼마만큼의 식사보다도 어떤 식사가 더 중요하듯이...
17. 교육을 함에 있어서 고민은 “가르치는 대로 아는” 게 아니라 “배운 만큼 아는” 데 있다.
18. 교육은 人生三樂 중의 하나다.(맹자)
19. 교육을 통해서만 인간이 될 수 있다.(칸트)
20. 교육은 人間行動을 바람직한 쪽으로 변화시키는 계획적 활동이다.(듀이)
21. 교육은 하고 싶은 일을 못하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할 수 있도록 하는 自己調節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다.
22.교육은 “싶다 지향(want)”을 거부하고 “답다 지향(should)”쪽으로 살 수 있는 힘과 智慧를 길러주는 것이다.
23. 敎育은“最小限의 現實的 能力”과 潛在된 “最小限의 可能的 能力”을 키운다는 뜻도 갖고 있다.
24. 敎育은 自我을 發見하는 것이다.
25. 敎育은 福祉나 施惠(시혜)가 아니라 최상의 經濟活動이고 國家發展 戰略事業이다.
26.교육은 너, 나, 우리의 어울림 속에서 각각 개인의 얼굴만큼 다양한 구성원들의 바램이 이루어지도록 이끌어 내는 데 있다.
28. 교육은 교사와 학생이 서로 접촉하면서 둘 다 같이 배우는 활동이다.
29.교육은 재능을 녹여 능력으로 바꿔주는 활동이다.
30.교육은 학생들이 자립과 제 갈 길을 갈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다.
31.교육은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을 도와주는 과정이다.
32. 교육의 비결은 학생들을 존중하는 데 있다.
33. 학교는 재능을 녹여 능력으로 바꿔주는 제련소다.
34. 배운다는 것은 자기를 낮추는 것이며, 가르치는 것은 희망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것이다. (밀양무안중 이용훈 교장)
35. 창의적인 인간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을 신나게 할수 있도록 내버려두어라(서남표 KAIST 총장)
36. 천재는 하늘이 주는 1%의 영감과 흘리는 99%의 땀으로 이루어진다.(에디슨)
37.기업이나 국가경제 경쟁력의 핵심은 인재(Talent)다. 세계는 지금인재를 통해 경쟁하고 있다.
38. 예전엔 내가 공부할 때 친구가 잠을 자야 내가 유리했지만 지금은 잠자는 친구를 깨워서 같이 공부해야 유리하다(조현정사장)
39.칭찬은 삼페인과 같다. 거품이 꺼지지 않았을 때 갖다 바쳐야 한다. 그리고 꾸지람 뒤의 격려는 소나기 뒤의 태양과 같다.(괴테)
40. 충고란 줄 때는 말로주고 싶고, 받을 때는 되로 받고 싶은 법이다.
41. 독서는 해박한 인간을 만들고, 필기는 정확한 인간을 만들며, 대화는 민첩한 인간을 만든다.
42. 어린이는 의문부호의 바다로 둘러싸인 호기심의 섬이다.(셀 석유회사 광고문)
43. 아이와 천재의 공통점은 ‘탐구심’바로 그것이다.
44. 아이들의 버릇을 고치려면 남들에게 아이를 칭찬하되 그 칭찬을 엿듣게 하라.
45. 아버지가 자녀를 위해 해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일은 그 아이를 낳아준 어머니를 사랑하는 것이다.
46. 세상에서 가장 불쌍한 사람은 선생님이 없는 사람이다.(대전시장 박성호)
47. 사색없는 독서는 소화되지 않는 음식물을 먹는 것과 같다.(에머먼트 버크)
48. 묻는 걸 겁내는 사람은 배우는 걸 부끄러이 여기는 것과 같다.(덴마크 속담)
49. 잘못을 정당화하다 보면 잘못이 갑절로 늘어난다.(프랑스 속담)
50. 약속은 가장 늦게 하는 사람이 잘 지킨다.(루소)
51. 친구를 고를 때는 천천히! 친구를 바꾸는 데는 더욱 천천히!(벤자민 프랭클린)
52. 읽지도 않는 사람들이 그것을 읽은 체 할 때 그 책은 성공한 것이다.(LA타임즈)
53. 개울바닥에 돌이 옳다면 시냇물은 노래를 부르지 않을 것이다.(칼 퍼킨스)
54. 모든 사람들에게 하루 24시간이 주어지지만 어떤 사람은 25시간을 사용하고 어떤 사람은 23시간을 사용한다. 더 심하게는 하루 24시간 전체를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넬슨 만델라)
55. 고함을 질러 길들인 말(馬)이 속삭이는 소리에 복종할 것으로 바라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리드 誌)
56. 어린애가 하는 짓을 하기엔 너무 크고, 어른들이 하는 일을 하기엔 너무 어린 아이가 10대이다.
57. 20대는 인생진로에 가장중요한 시기다. 이때 어떤 씨를 뿌리느냐에 따라 인생은 180도 달라진다.
58. 기회가 왔을 때 준비하지 않는 사람은 행운을 놓칠 수밖에 없다.
59. 孝는 百行의 근원이고 모든 인간의 지도 원리이다.(이퇴계)
60.부도덕의 근원은 나만은 예외라고 생각하는 버릇이다.(제인 아담즈)
61. 만나는 모든 사람에게서 무엇인가를 배울 수 있는 사람이 현명한 사람이다.(탈무드)
62. 평범한 스승은 말로하고, 좋은 스승은 설명을 잘하고, 탁월한 스승은 보범을 보이고, 위대한 스승은 감화를 준다.
63. 현명한 의사는 병을 고치기보다 병을 예방하는 법을 가르쳐 주듯이, 현명한 교사는 지식을 가르치기보다 지혜를 깨우쳐 준다.
64. 미래사회에는 존재하지도 않은 직업을 위해 아이들을 준비시키고, 그것조차도 성공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학교는 학생들의 미래를 훔치고 있다.(앨빈토플러)
65. 젊음은 ‘꿈을 이루기 위해 뭔가 저지르는 것’이다.(앨빈 토플러)
66. 간절한 꿈이 지금의 나를 만들었다. 어떤 상황에서도 나는 최고로 해 낼수 있다.(힐러리)
67. 천재란 남들보다 지식을 10년 먼저 배운 사람이 아니라, 지금껏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지식을 생산해 내는 사람이다.(KIST 전봉관 교수)
68. 문학의 위대함을 알려면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햄릿,리어왕,오셀로,맥베스)과 5대 희극(말괄양이 길들이기,베니스의 상인, 뜻대로 하세요, 한여름 밤의 꿈, 십이야)은 읽어야 한다.
69. 재미있는 호기심으로 책을 읽을 때 가장 효율적인 독서가 이뤄지고 그래야만 무엇인가 얻을 수 있다.(고교생 독서왕 문형범군)
70. 인간에게는 누구나 초능력이 잠재 되어 있다. 그 초능력은 최고의 집중상태에서 나오고, 단순함(사랑,재미, 관심)의 반복에서 나온다.(류창제의 특강)
71.동서고금을 통여 R아자와 약자의 차이는 집요함이다. 강자는 끝까지 해내지만, 약자는 주저하고 머뭇거리며 빈둥거리고 결국은 무너지거나 굴복한다.(미국평론가 퍼시 위플)
72. 공부는‘강제적 주입식 선행학습’과 호기심과 탐구심이 결합된‘ 자기주도적 학습’이 균형을 이룰 때 가장 효과를 볼 수 있다.
73. 공부는 요람에서 무덤까지(수직적 시간적 개념), 가정, 학교,. 사회 등 전 영역에 걸쳐서(수평적, 공간적 개념), 자기주도적(능동적, 자발적 개념)으로 해야 한다.
74. 인간의 직감(동물적 본능)은 70%는 타고 난 것이고, 30%는 후천적으로 개발된다.
75. 엉뚱함은 문화의 아버지요, 창의성의 시발점이다.(우석대 안도현 교수)
76. 창의성은 상상력의 아들이다. 일상에서 일탈한 상상력이 세상을 이끌고 간다.
77. 꿈에는 한계가 없다. 마음대로 꿈꾸어라(세이크 무함마드 국왕)
78.유태인 가정교육의 특징은 “나도 그런 사람이 되고 싶다”는 소망을 갖게 하기위하여 닮고 싶은 인물을 찾게 한다.
79. 머리는 좋은데 노력을 하지 않는 아이는 ‘공부해라’ 잔소리보다 인생의 다양한 성공모델을 보여주는 것이 훨씬 아이를 변화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80. 자녀에 대하여 제대로 투자하지 않는 아이들의 대학 진학이나 해외 유학 전에는 핑히 과외비나 학원비의 1/100도 안 되는 적성검사부터 받아보고 진로를 선택해 주어야 한다.
4. 健康을 지켜 주는 明言 30選
1. 건강은 단순한 행운이 아니라 힘써 지켜야 할 도덕적인 의무이다.
2. 노화, 멈추게 할 수 없지만 속도를 늦출 수는 있다.
3. 젊음은 주어지고 노년은 만들어 진다.
4. 출생에는 순서가 있지만 사망에는 순서가 없다.
5. 나이든 되돌릴 수 없지만 건강은 되돌릴 수 있다.
6. 재산을 잃으면 조금 잃는 것이요, 명예를 잃으면 많이 잃는 것이며, 건강을 잃으면 전부 잃는 것이다.
7.의술이란 자연이 병을 고쳐주는 동안 환자가 기분 좋도록 해주는 기술이다(볼테르)
8. 우리 몸은 음양의 원리에 따라 움직이는 데 질병은 그 음양이 제대로 흐르지 못할 때 생기는 것이다.
9. 자연치유력은 적당한 운동이나 균형 잡힌 식사, 절제된 생활,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생성된다.(경북의대 이정범 교수)
10.“네 몸에게 잘해라. 그래야 영혼이 깃들어 싶어 하지 않겠는가.” 몸에게 잘한다는 것은 욕망을 줄이는 것이다.(테레사 수녀)
11. ‘두 다리가 의사’이고 ‘다리는 제2의 심장’이다.
12. 약보다 식보가 낫고, 식보 보다 행보가 낫다.
13. 걷는 다는 것은 내가 인간임을 증명하는 것이다.(이어령)
14. 산책은 위대한 예술이고, 아침산책은 그날 하루를 위한 축복이다.
15. 살고 싶거든 차에서 내려라, 내려서 걸어라, 걷는 만큼, 살게 될 테니까?
16. 음식으로 고치지 못하는 병은 약으로 고칠 수 없다.(히포크라테스)
17. 세상에는 밥을 먹는 사람보다 밥에 먹히는 사람이 훨씬 더 많다.(성철스님)
18. 아침은 황제처럼, 점심은 신하처럼, 저녁은 걸인처럼 먹어라
19. 건망증과 치매를 예방 하려면 뇌 산소를 빼앗는 과식과 비만을 조심하고 최대한 머리를 굴려라.
20. 하고 싶은 것, 먹고싶은 것에 만족하면서 건강하게 오래 살 수는 없다.
21. 요즘 흔히 우울증이라고 하는 것은 일을 적게 해 몸에 탈이 난 경우가 대부분이다.
22. 고압선 인근에 거주하면 위험이 최고5배 정도 높아진다.(호주 태즈메이니아대 연구팀)
23. 가슴 X 선(1회-0.3mSv)를 년 1회씩 30년간 쪼이면 50명중 한사람은 안에 걸리고, CT검사(1회-10mSv)와 위장조영술(13mSv)를 받은 1200명중 한명은 암에 걸릴 확률이 높다.
24. 알코올의 독성은 취기가 아니라 마신 술의 양과 정확하게 비례한다. 따라서 ‘건강 음주법이란’ 이 세상에 존재 하지 않는다.
25. 담배는 ‘천사의 얼굴로 다가오는 악마’일뿐 변함없이 내 곁을 지켜주는 친구가 아니다.
26. 운동은 숨이 차도록 해야 하고 1주일에 한번 강하게 하려면 차라리 안하는 게 낫다.
27. 평소 자기 몸을 위해 우선적으로 투자를 하지 않는 사람은 늙어서는 그 몸을 위해 돈과 시간을 몽땅 쏟아 붓게 된다.
28. 꼼지락 운동은 진시황제가 그토록 찾아 헤맸던 불로초에 비유된다. 영약중의 명약이다.
29. 우리 몸의 저항력 강화를 위해서는 잡초훈련이 필요하다. 그런데 게으런 사람들은 몸에 좋다는 보약만 찾으며 투자 없이 건강을 얻으려고 한다.(서울의대 유태우교수)
30.건강하고 싶으면 건강한 사람의 그림자를 밟아라
① 건양대 김희수 총장(80대나이에 40대 건강유지)
* 매일 새벽4시20부 출근해서 대학과 병원 구서구석(1만5천보)을 빠른 걸음으로 걷기
* 가급적 젊은 사람들과 자주 어울리면서 젊은 생각과 젊은 언어 배움
② 서울삼성병원 이종철 박사(지극히 상식적인 것들이 특별한 건강법)
* 채소, 과일, 생산 중점의 식사를 소식하고 천천히 먹는 것을 생활화
* 건강보충제로 15년째 매일 비타민 C 매일 4g 씩 복용하고 비타민B군 복합영양제 한알과 비타민E400IU(국제단위) 도 3~4년 전부터 복용
* 건강 3운동(유산소 운동, 근력운동, 유연성운영)을 매일 직장과 집에서 수시 실시
③동아제약 강신호 회장(80세 나이지만 언제나 영원한 청년)
* 역까지 걸어서 월20회 지하철을 이용하고 또 고충도 향상 계단을 통해 오르내림.
* 건강을 위해 부부관계도 주 2회 거르지 않고 지속
④샘표 식품 박승복 회장(85세기 피부나이는 50대를 유지)
* 27년째 매일 식초를 하루 3번 식후에 복용
* 건강관리 공식 = (소식+적당한 운동 + 절주와 금연+숙면)을 준수
⑤ 중국공산당 주석 등소평 (93세까지 건강을 유지하면서 장수)
* 매 끼니마다 위의 70%만 채울 정도로 소식
* 식단 구성의 기본원칙으로 매일 25가지의 식재료를 필수적으로 섭취
5. 교육지표, 집약표어 60선
명품학교를 지향하는 Vision and Mission
1. 고운 꿈 자라는 00배움터
2. 길을 만들겠습니다. 길을 열겠습니다. 한결같은 마음으로 앞서 가겠습니다.
3. 꿈과 희망을 주는 0000교육
4. 꿈꾸는 열정 쉼 없는 도전
5. 꿈, 보람, 즐거움이 함께하는 학교
6. 꿈은 언제나 미래형이다! 한발 앞서 미래로 가는 0000학교
7. 꿈을 키워 가꾸자
8. 꿈을 현실로! 글로벌 리더를 만드는 0000 학교
9. 누구나 가지고 있는 능력 0000서 가꿉니다.
10. 늘 푸르고 아름다운 학교, 그래서 우리학교는 그린 스쿨
11. 늘 푸르고 쾌적한 곳, 그래서 가고 싶고 머무르고 싶은 학교
12. 당당한 디지털인재를 키우는 배움터 0000학교
13. 더 넓은 세계로 더 밝은 미래로 00꿈나무가 21C를 열어 갑니다.
14. 더 높고 더 넓은 세계에서 00꿈나무들의 큰 꿈을 마음껏 펼쳐라
15. 더 높은 곳에서 보다 큰 세상을 만난다.
16. 더 많은 생각이 자랄 수 있도록, 더 높은 실력을 키울 수 있도록
17. 더불어 살아가는 창조적인 인간육성
18. 더 좋은 내일, 남다른 내일을 원한다면 00에서 시작 하십시오
19. 더 큰 세상을 꿈꾸어라
20.많이 배운 어린이 보다 먼저 배우는 어린이가 앞섭니다.
21. 머리보고 준비하는 00꿈나무가 21C 오늘을 움직인다.
22. 마음도 늘 깨끗하고 푸른 아름다운학교
23. 모두가 ‘행복’이라 부르는 곳에 0000학교가 있습니다.
24. 미래를 여는 지혜
25. 미래를 이끌어 갈 인재육성! 0000학교
26. 미래를 향한 힘찬 도약 사랑받는 00교육
27. 바른 생각 바른 행동
28. 밝은 미래가 열리는 곳, 한걸음 먼저 00꿈나무가 걸어갑니다.
29. 사람과 자연이 먼저 행복한 배움터
30. 사랑으로 가르치고 믿음으로 배우는 학교
31. 사랑이 넘치는 0000학교
32. 상상의 힘! 행복한 나, 내 미래를 연다.
33. 생각을 넓히자, 꿈을 키우자, 미래를 열자
34. 생각하는 기쁨, 찾아내는 즐거움
35. 실력과 인성을 갖춘 창의적인 인재 육성
36. 실력, 만족, 00교육의 새로운 도약
37. 세계일류를 지향하는 글로벌 인재 육성
38. 아름다운 생활 행복한 미래
39. 앞선 열정 더 큰 사랑(더 큰 사랑 앞서 가는 교육)
40. 양질의 교육을 실천하는 0000학교
41. 오늘 보다 더 행복한 내일을 준비하는 곳 00학교입니다.
42. 오라! 꿈꾸는 이여, 가라 세상의 중심으로 키워라 너의 비젼을!
43. 우리들의 아름다운 만남과 배움이 있는 곳 0000학교
44. 우리 모두는 다른 꿈을 꿔야합니다. 우리 모두 다른 길을 가야 합니다.
45. 우리의 희망은 우리의 아이입니다.
46. 작은 학교 큰 교육
47. 창의와 도전으로 미래를 여는 00교육
48. 창의와 도전으로 미래를 여는 00교육
사랑과 열정으로 가르치는 존경하는 선생님
늘 변화하고 생동감 넘치는 존경받는 선생님
아름다운 학교를 함께 가꾸는 열린 학부모
49. 창의와 사랑이 가득한 0000학교
50. 최고로 키우겠다는 선생님의 약속, 창출어람 하겠다는 학생들의 정열
고귀한 약속과 정열이 모여 미래를 향한 동행이 시작됩니다.
51. 통일과 디지털 시대를 한발 앞서가는 00교육
52. 품어라 세계를! 보아라 미래를!
53. 하나 된 힘! 모두의 꿈! 우리 00학교의 자랑입니다.
54. 00과 만나면 꿈이 커집니다. 00과 만나면 세상의 중심이 됩니다.
00과 만나면 더 큰 세상으로 나아갑니다.
55. 00교육가족이 만족하는 최상의 교육서비스를 위하여
56. 00에서 새로운 세계를 꿈꾸어라
57. 0000학교가 여러분의 꿈에 날개를 달아드립니다.
58. 0000학교, 우리의 꿈과 미래가 있습니다.
59. 0000학교 으뜸선생님이 으뜸가는 00인재를 키웁니다.
60. Fly tomorrow! 00꿈나무가 더 큰 날개짓을 시작합니다.
학교 시설관리
학교시설사업명 |
| ||||
사 업 기 간 |
| ||||
예 산 |
| ||||
사 업 주 관 |
| ||||
학교시설사업자체분석 |
구분 |
상 |
중 |
하 |
분석내용 |
타당성 |
|
|
|
| |
합법성 |
|
|
|
| |
안전성 |
|
|
|
| |
연계성 |
|
|
|
| |
융통성 |
|
|
|
| |
미관성 |
|
|
|
| |
관리성 |
|
|
|
| |
종합평가 |
|
20. 미래가 요구하는 학교장의 역할
1.서론
요즘 세간에는 교장직에 대한 말이 많다.
그동안 교장직에 말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요즘만큼 논란을 일으킨 때도 없었지 않았나 싶다. 그 논란의 핵심은 교장 공모제가 자리잡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핵심 논쟁은 교육경력이 일정기간(15년) 있으면 교장자격을 부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교육경력 15년 이상인자는 교장이 갖추어야할 자질을 갖춘다고 보는 것인데
도대체 교장의 자질이 어떤 것이기에 15년 경력자면 모두가 가질 수 잇다는 것인지 검토해볼 필요가 있는 것 같다.
그동안 교장이 되기 위한 승진제도는 그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노출해왔다.
그런 문제점들이 있으면서도 이 제도가 유지되었던 것은 이제도가 장점이 크기 때문이었다.
첫째, 교장으로서 자질을 갖출 수 있었다는 점이다. 즉 부장교사를 거치면서 업무관리 조직을 배웠고, 교감직을 거치면서 학교경영자로서의 역량을 닦았으며, 전문직을 거치면서 교육시스템의 전체구조를 보는 안목을 길러왔다.
마치 전문가가 되기 위해 인턴, 레지던트 과정을 거치듯이 전문 교장이 되기 위해 각종 보직과 관리직을 경험하는 것이다. 물론 이들은 각종 보직과 관리직을 경험하는 것이다. 물론 이들은 각종 보직과 관리직을 경험하기 이전에 이미 교사로서의 경험을 15년 정도 가진 후에 한 일 들이다.
현제의 논리를 따르면 교육경력 15년 후에도 각종 보직과 관리직을 경험하는 일이 꼭 필요하다는 것이고 교장공모제의 논리를 따르면 15년 경력만 있으면 충분하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양자의 주장이 다른데 그 원인은 아마도 교장의 역할에 대한 오해내지는 서로 다른 관점이 존재하는 것 같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먼저 교직의 역할을 탐색할 것이다. 그리고 앞으로 교장 제도는 미래의 학교모습을 방향타로 잡고 개선해 나가야 한다는 점에서 미래학교의 모습을
탐색 할 것이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학교가 요구하는 학교장의 역할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Ⅱ. 교장의 기본역할
1. 교장의 역할 범위
교장의 역할을 한마디로 말하긴 쉽지 않아 보인다. 역할은 항상 그 시대의 기대요구를 전제하기 때문이다.
많은 선행연구들이 교장의 역할에 대해서 통일된 의견을 제시하기 보다는 다양한 관점을 제시 하고 있는 이유도 바로 그 때문이다.
예를 들면 한국교육개발원은 지난 200년에 최근의 학교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교장의 역할을 7가지로 제시한바 있다.
① 갈등 관리자 ② 비전 제시자 ③ 문화 창조자 ④ 개혁주도자
⑤ 정보 제공자 ⑥ 전문 경영자 ⑦ 도덕적 귀감자가 바로 그것이다.
그리고 2006년도 연구에서는
① 사회변화에 대응하는 경영자 ② 지식경영자 ③ 조정자/중재자
④지도자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근원적인 차이라기보다는 교장역할을 보는 관점에 따라 다르게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학자들의 견해를 살펴보면 서정화(2002)는 교장의 역할을
① 학교문화 창조자 ②인간중심 학교경영자 ③ 효과적인 학교경영자
④변화 촉진자로 제시하고 있다.
이윤식은(2006) ① 교육개혁 선도자 ② 학교경영전문가
③ 교육기관 통합자로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학자들에 따라 표현하는 관점의 차이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렇듯 다양하게 보이는 교장의 역할 규정들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 속에서 교장의 역할에 대한 기본적이고 공통적인 역할 범위들을 분명히 찾아볼 수 있다는 것이다.
<표1> 교장의 역할 범위
|
경영자 역할 |
지도자 역할 |
KEDI(2000) |
갈등관리자, 정보제공자,전문경영자 |
비전제시자, 문화창조자, 개혁주도자, 도덕적 귀감자 |
KEDI(2006) |
변화대응 경영자, 지식경영자, 조정자/중재자 |
지도자 |
서정화(2002 |
인간중심 학교경영, 효과적인 학교경영자 |
학교문화 창조자, 변화촉진자 |
이윤식(2006) |
학교경영 전문가 |
교육개혁선도자, 교육기관통합자 |
이러한 결과는 교장의 역할을 보는 관점에 따라 표현하는 방식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으로 교장 역할은 경여자역할 과, 지도자 역할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며, 교장직이 존재하는 한 이 두 역할도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교장에게는 이 두 가지 역할이 필수적이라는 것인데 그 역할이 어떤 일인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경영자와 지도자는 유사하기도 하지만 분명히 차이가 있는 데 대상은 같지만 발휘하는 방식과 수분에서 차이가 있다.
이를 좀더 살펴보면
<표2> 경영과 지도성의 차이점
경 영 |
지도성 |
1. 기획과 예산기능 : 목표달성을 위해 세부단계 및 일정계획 작성, 이에 따른 예산배정 |
1. 방향설정 : 비전을 개발하고 이를 성취할수 있는 전략 개발 |
2. 조직 및 충원기능 : 계획집행을 위해 조직의 얼개를 짜고 사람을 배치 책임과 권한을 위임하고 내부규정과 절차를 만들며 성과 측정을 위한 방법 개발 |
2. 인적자원의 집중화 : 조직원들에게 행동으로 조직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여, 비전과 정략을 이해하고 실행하고자 하는 혁신지도부나 팀을 구성
|
3. 통제 및 문제해결 기능 : 얻어진 결과조치와 처음 계획과의 차이를 검토, 이에 따른 문제점 해결 |
3. 동기부여 및 사기진작 : 조직원의 욕구를 만족시켜 줌으로써 정치적이거나 관료주의적인 저해요인, 자원의 한계를 극복하도록 독려 |
자료 : 염철현(2004) 교사의 리더십, 문음사
경영자가 기획과 예산을 배정하고 조직을 구성하고 충원하며, 통제와 문제해결을 주 기능으로 하는 데 반해서, 지도자는 방향을 설정하고 인적자원을 집중화 시키며 동기부여 및 사기를 진작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단위학교의 집행권한을 위임받은 교장은 경영자로서의 역할이 기본적인 임무이다.
그러나 교장의 역할이 이러한 경영자로서 그치지 않고 지도자로서 역할도 역시 중시 된다는 점이다. 이는 교육이 갖는 속성이 미래지향적이며 미래의 일꾼을 길러내는 교육체제는 반드시 미래를 조망하며 나아가야 하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그러나 혹자는 리더는 도전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성향을 지닌 것으로 보는 반면에 관리자는 현상유지를 통한 현실주의자로서만 보는 이분법적 사고를 할 수 있는 데 오해의; 소지가 있다.
학교조직을 놓고 볼 때 관리와 리더십의 두 기능은 그 고유의 한 역할이 설정되어 있고 상호보완관계에 놓여있다. 따라서 어느 한 쪽의 기능이 우위에 있다거나 중요하다고 단정 짓는 것은 무리다. 어느 조직에서 리더십의 기능과 관리의 기능이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 있다고 한다면 균형적으로 바로잡아 나가야 한다. 그런 불균형은 조직을 기형적 EH는 편향적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2. 교장의 역할 영역
교장의 역할 범위가 경영자와 지도자로 구분된다고 할 때, 각각의 역할 영역을 살펴 보고자 한다. 먼저 경영자 의 영역은 은 교장의 직무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교육개발원은 2005년에 학교장의 직무영역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①교육과정 및 수업관리 ②학생지도관리 ③학급경영관리 ④학교경영 관리 ⑤교직원 관리
⑥학부모 및 대외협력 관계 관리 ⑦전문성 신장 관리 등
진동섭(1995)은
①학교경영 계획수립 ②교육과정 운영 ③교내자율장학 ④교직원 인사관리 ⑤학교관리
⑥학교와 지역사회 관계 ⑦전문성 개발 등
남한식(1992)은
①기획 ②교직원의 인사관리 ③학생 관리 ④교무관리⑤시설관리⑥회계관리⑦학부모 및 대외 관계 ⑧전문성 신장 ⑨학교경영평가 등 제시함
이렇게 보면 교장의 경영자 역할 영역을 대별하여 5개 영역으로 구분해 볼수 있다.
교육과정 및 교수, 인적자원관리, 학교와 지역사회 관계, 전문성 신장, 행・재정 업무관리 등
이는 교장이 학교경영자로서 반드시 담당해야 하는 기본 직무영역을 말한다.
Ⅲ.미래의 학교전망
1. 미래학교의 변화방향
가 다양화
미래사회의 변화는 교육에서 많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폐쇄적 교육체제에서 개방적 교육체제로의 전환이 요구됨으로써 종래의 획일적 통제로부터 다양성을 추구하는 자율화의 방향으로 전환 될 것이다.
다원화된 교육에서는 학생의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반여하기 위하여 종래의 표준화도니 교육가정이나 획일적인 수업방법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교육내용의 조직과 수업집단 편성을 도모하고 융통성 있는 교실배치 등 교육시설을 다양하게 활용하려고 한다.
이러한 영향으로 미래의 사회에서는 교육시스템 측면에서 중앙 권한이 분건화되어 지역사회에서의 교육정책 결정 권한이 확대 될 것이다.
교육부는 국가정책을 이끌어가는 중앙교육 행정기관으로서 교육기획 및 정책개발을 중심으로 재편되고 교육을 지원. 조성하는 기능을 강화하게 될 것이다.
각 시도에서는 지역의 여건과 특성 및 주민의 요구가 수용되어 획일적 운영이 아닌 지역실정과 특수성이 고려된 교육이 실시될 것이다.
나. 자율화
21세기 변화요청을 학교에서 수용하고 학교의 교육내용과 방법을 전환하며, 자율적 학교경영을 정착시키고 과거학교경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율화,다양화,전문화, 참여, 책무성 등이 중시되는 학교운영체제가 요청되고 있다.
즉 학교조직의 탈 중앙집권화 요구, 학교구성원인 학생과 교사, 학부모참여, 교실내에서 수업모델 변화 등이 요구되는 이 시대에 부응하는 학교의 모습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학교경영자인 학교장에게 깊은 성찰이 요구된다. 즉 지역사회 맥락에서 학교는 누구의 것인가 하는 점과 지금까지 학교를 이끌어온 구태의연하고도 뿌리 깊은 가정들이 무엇이가에 대한 문제의식이 필요하다.
학교의 문화, 학교조직에 대한 기본가정, 의사결정, 지도성 수업에의 접근, 학교의 책무성등에 대해 근본적인 시각에서 재검토하고 새롭게 변화시켜야 한다.
그리고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방법의 기법, 시설, 설비, 자료의 획득 및 이용, 인사, 재정, 등의 면에서 학교수준네 더 많은 자율성을 부여하고 이를 위해 학교장을 학교경영의 주요 집행책임자로 하는 일, 상부의 지시나 감독에서 학교의 자율적 활동을 지원하는 상급기관의 역할변화가 있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필요한 자원을 재량껏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학교중심의 예산, 의사결정을 놃혀 주는 팀에 의한 수업운영, 학교중심의협의회 등의 운영으로 이에 참여하는 학교공동체 구성원들의 역할 도 요청된다.
2. 학교구조의 변화전망
학교 유형의 다양화는 시대적 추세이다. 획일적인 학교형태로는 세계화, 지식정보화, 분권화 시대에서 교육의 경쟁력, 나아가 국가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
학교유형의 다양화는 사회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 다양한 소질과 능력을 가진 인적자원을 육성하기 위해서 당연한 변화상이며 우리나라도 이러한 세계적 패러다임과 같이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학교유형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구분할 수 있는 데 하나는 교육내용의 보편성과 특수성 측면에서 일반 공립학교와 특성화학교로 구분되고 다른 하나는 학교운영의 자율성 측면에서 국가의 규제를 받으면서 운영되는 일반 공립학교와 학교단위의 자율기능이 강화된 자율학교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학교유형은 학교의 설립 및 운영, 재정지원, 교육내용, 인사, 학생선발, 지도, 감독, 평가 등에 차이가 있다.
가. 교육내용의 보편성 유지
일반공립학교는 교육내용 측면에서 보편성을 추구하고 있다. 그래서 국가수준의 굥 r과정 및 지역단위 교육청의 교육과정은영지침을 준수하도록 하고 있으며, 학교재정 및 인사 등의 운영지침을 준수하도록 하고 있으며 학교재정 및 인사 등의 영역에서는 상급기관의 관리를 직접적으로 받고 있다. 이와 같은 일반 국공립학교는 공교육의 근간을 이루는 것으로서 교육의 평등성 추구가 최우선적인 이념이 된다.
학교간의 차별성, 특수성을 최소화하고 국가 교육정책의 동질성을 추구할 수 있는 학교형태이다. 이때 국가가 직접적으로 관리하는 학교인 경우 단위학교의 책임자격인 교장은 국가 혹은 지역단위의 교육이념 구현 및 교육정책 실현에 적극적으로 부응 할 수 있어야 한다.
나. 교육내용의 특성화 추구
특성화 고등학교는 소질과 적성 및 능력이 유사한 학생들을 대산으로 특정분야의 인재를 육상하는 학교로서 직업분야와 대안 교육분야로 구분한다.
다. 학교운영의 자율성 확대
자립형 사립고등학교와 공영형 자율학교는 교육내용 측면도 일반 국・공립학교와 구별될 수 있겠지만 그보다 학교통치(지배) 구조 측면에서 일반 국공립학교와 큰 차이가 있다.
Ⅳ. 미래학교가 요구하는 교장의 역할
1. 교장의 경영자 역할
학교장의 학교경영 역할은 크게 다섯 가지로 구분해서 교육과정 및 교수관리, 인적자원관리, 학교-지역사회 관계관리, 전문성 개발 관리, 행・재정업무관리 등이다 이와 같이 교장의 경영 역할은 미래학교의 특성에 다라 변화를 보일 것이다.
미래학교의 경영특성은 ‘다양성’과 ‘자율성’이다 학교단위의 자율경영 형태로 변화하는 것은 세계적인 패러다임이자 미래학교의 모습이기도하다.
현재의 중앙집권적인 교육체제로부터 단위학교로 중심의 자율경영체제로 변화할 경우 교장의 경영역할도 자율성 중심으로 변화할 것이 분명하다.
미래학교에서는 보다 다양해진 학교형태의 영향으로 교장의 역할 도 다양해 질 것이다.
교장의 역할은 특성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하도록 전문적 지원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해당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이 요구될 것이다.
자율학교에서는 교육내용에 상당한 자율성이 주어지게 되므로 현재의 국가교육과정을 준수하는 형태로부터 벗어나 학교단위로 교육내용을 구성하게 될 것이다. 교장은 이러한 교육과정 개발을 지원하고조장해 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이하 ~ 생략~
2. 교장의 지도자 역할
교장 지도자의 역할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되었다. 즉 교육지도성, 관리지도성, 전문지도성, 공동체 지도성 등이다 이와 같은 교장의 지도자 역할 은 미래학교의 특성에 따라 변화를 보일 것이다.
교장에게 요구되는 교육지도성에 차이가 있다.
일반학교의 교장은 교육부나 교육청이 제시한 교육과정을 근거로 삼아 학교교육과정을 편성하고 교수학습을 개선하도록 지도력을 발휘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장이 지침이 되는 교육과정을 섭렵하고 학교의 특성을 팡가하여 교육과정 설계와 교수개선에 교사들보다 앞장서야 한다.
특성화 학교에서는 특정분야에 대한 교육청의 지원을 받기가 곤란하므로 학교단위의 프로그램이 개발될 수 잇도록 교장이 특정분야 전문성을 바탕으로 이끌어 나갈 유일한 존재라는 점에서 그의 지도적 역할이 중요하다
교장은 학교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시대변화에 대한 인식, 수요자의 요구 감지 등의 역량을 갖추지 않으면 불가능하다. 관리지도성 측면에서 일반학교의 교장은 교육당국의 정책에 따라 배치된 학생과 교원의 관리지도자로서 역할을 갖는다.
교장은 조직의 재구조화를 통해 조직 내에 자율성을 부여하고 스스로 책임지도록 하는 관리지도성을 발휘해야 한다. 그리고 스스로 책임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평가제도를 마련하고 직원들이 이를 기꺼이 수용하는 문화를 만들어야한다. 전문성 지도 영역에서는 일반학교 교장은 연수와 장학을 이끌어가는 역할을 담당하는데 비하여 특성화 학교의 교장은 교원의 수월성 확보전략을 세우고 추진해야 한다.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미래의 학교에서 요구하는 교장은 경영자로서의 전문성과 지도자로서의역량을 갖춘 자이다.
그리고 학교의 유형에 따라 요구되는 교장의 역할 내용에 차이가 있다.
100년 후 미래의 학교가 어떤 모습을 갖게 될지를 예상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현재를 포함하여 가까운 미래를 예측하는 일은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가까운 미래에 교장이 어떤 일을 하게 될지를 예상하는 일도 그렇게 어려운 일은 아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교장이 어떤 역할을 하게 될지에 대해서 의견이 분분하다.
의견이 다른 것은
여기에서는 전혀 다른 관점이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나는 교장직을 역할 측면에서 보려하고, 다른 하나는 교장직을 지배구조 측면에서 보려고 하기 떄문인 것 같다.
다시 말하면 한쪽에서는 교장직을 수행하는자의 전문적 경영능력과 지도성이 학교의 교육력제고에 필수적인 요소라고 보는 반면, 다른 쪽에서는 교장직이 갖는 구조가 수직적 지배구조로 되어 있어서 권력을 독점하므로서 교육에 폐해가 많으므로 이를 시정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보는 것이다. 서로 자기관점 만으로 주장만 할 것이 아니라 학교외부에서 학교를 바라보는 시각도 한번 살펴보아야 한다.
먼저 학교의 당양성과 자율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이유중의 하나를 학교구성원들이 스스로 운영할 전문성이 미흡하기 때문이라고 보는 시각이 있다는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 아지도 사람들은 학교가 자율적인 역량을 가지고 다양하게 운영할 수 있는가에 대해 신뢰감을 가지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둘째, 학교의 다양성과 자율성이 증대되면 그만큼 책무성도 증대되기 마련인데 불행히도 현재 우리의 학교교육에 대한 사회의 만족도는 그리 높지 못하다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 학교교육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학부모들의 질 높은 교육에 대한 욕구는 교육정책으로 하여금 학교의 책무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바뀌도록 만들었으며, 이에 따라 학교와 교원의 효과를 검증하는 평가 등의 장치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학교가 스스로 전문성과 책무성을 가지고 있는 길 뿐이다. 교장직은 교원들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에 대한 교육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공공적 국가관의 책임자로서 존재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2. 제언
지금 교장직에 대한 논란은 하루빨리 그 원인을 찾아 치료해야 한다. 왜냐하면 피해자는 학생들이기 때문이다.
이 시점에서 교장이 어떤 일을 하는 자인지 엄밀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의 교장직은 그 직무가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은 채 수행되어온 측면이 있다.
다만 학교에 교장의 영향력이 가장 크다는 정도로 그 중요성만 인식해왔을 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동시에 교장직의 개선방향을 올바른 설정해야 한다.
교장공모제의 탄생배경은 그동안에 교장의 직무수행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들과 교장이 되기 위한 승진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에 기인하는바가 크다.
그렇다면 문제점을 개선하도록 방향을 잡아야 한다. 이것이 안 좋으니까? 저렇게 해보자는 식의 방향 설정은 곤란하다.
만약에 그 방향이 틀리면 그동안의 학생들은 어쩌란 말인가, 국가는 교육사업에 대한 책무가 있다. 그리고 교육의 질을 보장할 책임도 있다. 그 어떤 개선방향이라 하더라도 국가가 보장할 수 있는 선을 넘어서면 곤란하다. 이시대의 패러다임은 학교의 유형의 다양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그시대에 따라 다양한 교장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교장직을 한 가지 유형으로만 인식하고 논쟁능 벌이는 것은 우리의 교육을 새로운 시대에 부응하지 못하게 하는 결과를 낳게 될까봐 우려된다.
위 글은 2007년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한국초등교장협의회’ 및 ‘한국중등교장교육협의회’와 공동으로 ‘미래학교가 요구하는 교장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된 경북대교수 신상명교수주제발표 내용입니다.
21. 취 임 사
취임사 -1
저는 오늘 서울 초등학교 교장으로 부임하면서 가족의 한사람이
되었다는 긍지와 보람, 그리고 영광을 백 여 명의 어린이를 비롯한 교직
원, 학부모, 졸업생 그리고 지역주민 여러분과 함께 하고자 합니다.
학교는 단순히 공부만 가르치는 곳이 아니라, 어린이들이 저마다의 꿈을
가꾸어 미래에 잘 살아갈 수 있는 올바른 사람을 기르는 곳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스승과 제자는 마음으로 통하고 인격적으로 만나야 하며, 학부모와 지역주민은 학교를 믿고 도와주어야 합니다. 그러려면 학교는 모두가
'우리 학교'라는 생각으로 오고 싶고, 머물고 싶은
마음이 드는 즐거운 곳이 되어야 합니다.
내일의 희망인 어린이 여러분!
교장선생님은 큰 부자가 된 느낌입니다.
세상에는 돈 많은 부자도 있지만, 교장선생님처럼 칠백 오십 여 명이나
되는 어린이 여러분과 훌륭하신 선생님들 그리고 많은 학부모님들과의
만남으로 마음이 큰 부자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교장선생님은 오늘 여러 어린이들과 첫 만남에서 '학교 공부만 열심히
해라'라는 말 대신 '너희들이 하고 싶은 일을 해라, 그러나 남에게
피해를 주어서는 안된다'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여러분은 하고 싶은 일은 마음대로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남에게 피해를 주어서는 안됩니다.
그 일이 남에게 피해를 주는 일은 아닌지, 또는 여러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일인지 깊이 생각하고 행동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나는 이 다음에 커서 어떤 사람이 되겠다. 무슨 일을 하겠다'라는 꿈을 가집시다.
달리고 싶을 때는 힘껏 달립시다.
그리고 더 넓은 세계로, 우주로… 꿈을 펼쳐 나갑시다.
누구든지 이루고자 하는 일은 이루어 낼 수 있습니다.
그러려면 많이 생각하고 그 생각대로 끊임없이 노력하여야 합니다.
학부모님과 지역주민 여러분!
과거에는 점수에 따라 우등생을 가려내고 등수를 정하는 '한 줄로 세우기 교육'을 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어린이들 각자가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에서 성공감을
느끼고 재능을 발휘하도록 하는 '여러 줄 세우기 교육'을 하여야 합니다.
어린이들은 부모들의 소유물이 아니며, 부모의 생각을 강요해서도 안됩니다.
그들도 자신의 생각을 가지고 있고 지금과는 다른 세상에서 살아갈
것이기 때문에 어린이 스스로 판단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내 아이만을 위한 교육열은 '우리 학교'라는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우리 어린이 모두를 위한 교육열로 바뀌어야 하며, 학교공동체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원은 힘과 지혜를 모아 어린이 교육에 힘써야 합니다.
학교의 모습은 바로 우리 자녀들의 모습이요, 학부모와 지역주민의 모습이기도 합니다.
제자를 사랑하고 스승을 존경하며 학교를 신뢰하는 학교의 모습은
명실상부한 주민의 학교, 우리의 학교가 될 것입니다.
교육은 학교의 역할만으로는 불가능하며, 가정과 사회와의
상호보완을 통해서만 그 성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습니다.
학부모와 지역주민의 다양하고 풍부한 경험과 지식은 학교의
부족한 교육력에 적극적으로 투입되어야 합니다.
우리 모두가 교사라는 생각으로 우리 마을의 모든 어린이들을
건전하게 성장시키는데 온 정성을 다 합시다.
어린이, 선생님, 학부모님, 졸업생 그리고 지역주민 여러분!
우리는 서울 초등학교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한 가족입니다.
모두 힘과 지혜를 모아 전학 오고 싶은 학교, 이사 오고 싶은 마을로 만듭시다.
끝으로 저는 교장으로서 여러분의 의견에 귀 기울이고 깊이 생각하여,
여러분과 함께 좋은 학교를 만들어 갈 것을 다짐합니다.
서울연지초등학교 교장 서 철 원
취임사 - 2
이번에 내가 본교의 교장의 책임을 맡아서 이 학교에서 여러분들과
공부하고 함께 일하게 된 것을 진심으로 기쁘게 생각합니다.
더불어 전 교장 선생님과 선생님들의 노력과 공적에 대하여 삼가 감사를 드리는 바입니다.
그리고 미력하나마 여러분을 훌륭한 학생으로 만들기 위해,
이 학교의 발전을 위해 전력을 다할 작정입니다.
그러나 학교의 발전이라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문제입니다.
나 한 사람뿐만 아니라 여러 선생님, 학생 한 사람 한 사람,
그리고 PTA 전원이 일체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을 줄다리기 경기에 비유하면, 청백으로 나누어진 한 팀이 각각 힘껏 서로 당길 때에는
줄은 조금도 동요되지 않지만, 어느 팀이든 힘을 다른 데로 돌리거나 장단을
흐트러지게 되면 그 쪽이 반드시 지게 됩니다.
그래서 힘을 함께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도 최선을 다할테니 아무쪼록 여러분도 각각의 힘을 다하여 학교의 발전에
힘쓰기를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제가 생각하고 있는 바를 이 기회에 좀더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첫째, 청소년으로서 건강하게 자라나야 합니다.
중학생인 여러분은 심신이 성장기에 있는, 인생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때입니다.
내가 말하는 '건강하게'라는 말은 물론 심신 모두를 뜻하지만,
인간 최상의 행복은 신체의 건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신체가 건강하면 의욕대로 얼마든지 공부할 수도 있고 일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정신 건강 역시 중요하므로, 여러분은 이 문제를 진지하게
생각하여 심신을 건강하게 지켜나가기 바랍니다.
둘째, 열심히 배우고, 열심히 놀고, 열심히 일하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지금 학습 의욕에 불타고 있습니다.
따라서 공부가 마음속에 가장 잘 들어오는 때입니다.
상급 학교에 진학하는 사람, 혹은 직업을 찾아서 가는 사람 등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장래를 위해 꼭 학문에 힘써 주기 바랍니다.
동시에 기꺼이 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뜰의 풀을 뽑는 것도 그 습관은 반드시 좋은 습관으로서 일생을 지배합니다.
그리고 취미 생활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가 '열심히 놀아라' 하는 것은 고상한 취미 생활을 즐기는 것이 좋다는 뜻입니다.
셋째, '친절과 협력'입니다.
사람에 대하여 친절하다는 것은 사람의 마음속에서
가장 아름답고 고상한 정신이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자기만 좋으면 된다는 이기적인 사고 방식은 실로 경멸할 만한 것입니다.
세상에서는 절대로 혼자 생활할 수 없습니다. 많은 사람들과의 공동 생활이 참다운 모습인 것입니다.
공동의 생활을 하려면 아무래도 서로 돕고 서로 친절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교도 많은 학생 여러분이 모여서 일종의 공동 사회를 이루고 있는 곳입니다.
그래서 친절과 협력 정신이 학교 활동의 전체에 살아 있을 때에는 대단히
따뜻한 공기가 넘쳐나서 자연히 학교의 성적도 올라가게 됩니다.
넷째, 남녀 공학은 아름답다는 것입니다.
남녀의 사이는 서로 인격을 존중하여 온화한 공기가 감도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남학생은 어디까지나 여학생의 인격을 존중하여 남자다운 태도로써 대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여학생은 공연히 남학생에게 의존하지 않고, 모두 다같이 그 특성을 살려 부족한 부분을
서로 보완해 나간다면, 정신적인 아름다운 우정이 싹트게 되므로 매우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다섯째, 교양을 쌓는 사람이 되기 바랍니다.
'교양'이라 하면 물론 중학생으로서의 학업을 잘 익혀 사물에 대한
이해력이 넓은 것을 뜻하지만, 내가 특히 강조하고 싶은 것은 예의 범절입니다.
다시 말하면, 정신적인 수양은 물론이고 겉으로 나타나는 모든 경우의 언동이 훌륭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최근에는 예의 범절이 대단히 흐트러져서 버릇없는 행동을
태연스럽게 하고 있는 사람이 있는데, 이것은 곤란합니다.
이런 행동은 한국인으로서 그 인격을 인정받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상의 다섯 가지 항목은 내가 평소부터 생각하고 있던 것인데, 학교가 훌륭하게 발전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중요한 것들이 있겠지요. 이러한 것들에 관해서는 앞으로 선생님들과
여러분, 그리고 PTA의 여러분과 서로 협조하여 하나씩 하나씩 실행해 나가고 싶습니다.
사람들은 곧잘 이론을 말하며 논의를 하지만, 막상 실행을 하려면 언행이 일치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여러분도 의견을 계속 제출하여 좋은 일을 하나씩 하나씩 실행해 나가면
지금까지도 좋았던 이 학교가 다시 더 좋은 학교로 발전될 것입니다.
<이종래,연설과 식사 축사,일신서적출판사,1995>
취임사- 3
반갑습니다. 00가족 여러분!
오늘따라 유난히 맑은 날씨입니다.
지금의 나의 마음은 마치 여러분이 중학생이 되던 첫날을 맞이하던 그런 기분입니다.
오늘아침 맑고 밝은 표정으로 등교하는 여러분의
모습을 보면서 문창가족이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지난 4년동안 여러 선생님들과 함께 깨끗한 교육환경과 조화롭고 질서있는
아름다운학교를 만들어주신 000교장선생님과 000 교감선생님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조금전에 소개말씀이 있었습니다만 나는 바로 이웃학교인 00중학교에서 4년동안의
임기를 무사히 마치고 오늘부터 여러분과 함께 00동산을 만들어가기 위하여 왔습니다.
여러분! 만남은 새로운 변화의 시작이라고 합니다.
오늘 첫만남에서 꼭 들려 드릴 이야기가 있습니다.
일본 동경올림픽이 열리게 될 때 경기장 확장을 위하여 지은 지 3년밖에 안된 집을 헐게 되었습니다.
일하시는 인부들은 지붕을 벗기려다가 꼬리 끝에 못이 박힌
채 벽에서 움직이지 못하고 있는 도마뱀 한 마리를 발견하였습니다.
집주인을 불러 그 못을 언제 박았느냐고 물어 보았더니 집을
짓던 3년 전에 박은 것이 분명하다고 대답하였습니다.
3년 동안이나 못이 몸에 박힌 채 죽지 않고 살아 있었다는
사실은 참으로 놀라운 일이라고 모두들 혀를 내둘렀습니다.
사람들은 신기한 사실의 까닭을 알기 위하여
공사를 잠시 중단하고 도마뱀을 지켜보기로 하였습니다.
그랬더니 다른 도마뱀 한 마리가 먹이를 물어다 주는 것이었습니다.
그 도마뱀은 하루에도 몇 번씩이나 못에 박힌 친구를 위해 먹이를 가져다 주고,
그러기를 3년이라는 긴긴 세월 동안 계속하였던 것입니다.
자랑스런 00인 여러분!
못에 박힌 친구를 위하여 먹이를 물어다 주는 도마뱀처럼 여러분의 영원한 우정을 당부합니다.
마음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친구가 있고, 편안한 보금자리를
지켜주는 가족이 있고, 언제나 사랑으로 감싸주시는 선생님이 있는 한
여러분의 꿈은 이루어집니다.
꿈은 참 아름답습니다.
그러나 그 꿈이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을
향할 때 더욱 빛난다는 사실을 명심하기 바랍니다
오늘 새로이 문창가족이 된 나와 교감선생님도 여러분들의 다져지는
우정속에 꿈을 키워나가는데 도움이 될 것을 약속드립니다.
그리고 오늘 집에 가면 부모님에게 새로 오신 교장선생님과
교감선생님이 일일이 찾아뵙고 인사를 드리지 못 하지만
먼저 안부말씀을
전해주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취임사 - 4
사랑하는 진성고등학교 학생여러분 !
불철주야 땀 흘리시는 우리 교직원 여러분!
그리고 물심양면으로 지원을 아끼지 않는 설립자 차종태박사님, 이 자리에 참석하신 학부형 및 내외 귀빈 여러분,
감사합니다.
저는 오늘 진성고등학교의 교장으로 취임하는 자리에 서 있습니다.
이 자리에서 저는 여러분들과 함께 미래의 가능성을 찾아 열어가고자
몇 가지 말씀을 올리려 합니다.
여러분이 잘 아시는 대로 우리 진성고등학교는 올해로 개교 13주년을 맞았습니다.
‘땀을 흘리자, 학문에 힘쓰자, 사랑을 실천하자’는 교훈을 가지고 출발한
우리 진성고등학교는 이 짧은 역사동안에도 불구하고 명실상부 이젠 대한민국의 명문고등학교로 우뚝 섰습니다.
2001년 과학교육 우수교 표창
2003년 학교보건환경 최우수교 표창
2006년 SK 전국고교생 대입학력평가 경시대회 단체 대상
2007년 전국 지리올림피아드 대상 수상
2008년 경기도 논술 최우수상 수상 등
그동안의 혁혁한 수상내용들이 그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으며, 우리학교의 졸업생들은 서울대, 연대, 고대를 비롯하여 사관학교, 경찰대학, 의과대학 등으로 진학하여 이제 국가의 동량들로 굳건히 뿌리를 내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모든 성과가 그냥 이루어진 것은 아닙니다.
여러분들의 뜨거운 향학열과 성실한 태도, 그리고 그러한 여러분들을 뒷바라지 해 오신 부모님과 선생님들, 또한 학교를 아끼시고 지원하신 모든 분들의 지극한 정성의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사랑하는 진성고등학교 학생여러분!
그리고 교직원 여러분!
이제 우리 진성고등학교는 이러한 성과를 넘어 새로운 10년의 도약기를 창조해야 합니다.
지난 10년 동안의 성과를 토대로 이젠 세계를 향한 진정한 명문고등학교가 되어야 합니다.
그렇게 되기 위해 본임은 오늘 교장으로서의 각오와 포부를 감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첫째, 학생중심의 교육관을 가지고 시작하겠습니다.
우리 진성고등학교의 학생들은 내신 성적 200점 만점에서 190점 이상의 매우 우수한 인재들입니다. 따라서 여러분의 가능성을 인정하고, 여러분의 꿈을 최대한 펼칠 수 있도록 각종 제도들을 보완하고 지원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글로벌 리더로서의 자질을 육성하기 위한 ‘진성인 인증제도’를 운영한다거나 보다 효율적인 진학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선생님들과 방법을 찾고, 특히 글로벌시대에 외국의 유명대학에도 진학할 수 있는 유학 시스템을 적극 점검하고 지원하겠습니다.
둘째, 교원의 능력을 개발하는 리더십을 발휘하겠습니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지 못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모든 선생님들이 각자의 전공 교과에서 최고의 교사로 우뚝 설 수 있도록 최대의 지원을 하겠습니다. 창의적 교수-학습방법 연구에 전념토록 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그 결과가 수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그리하여 모든 학생들이 만족한 수업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셋째, 진성인의 정체성과 공동체의식을 함양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우리 진성고등학교는 기숙사 생활을 통해 끈끈한 공동체의식과 자율의 진정한 의미를 깨닫는 곳이며, 학생은 교사를 존경하고, 교사는 학생을 사랑하는 바람직한 사제 간의 전통을 만들어 가는 곳입니다.
졸업생들과 재학생들과의 멘토링 제도를 활성화하고, 본교의 건학이념을 바탕으로 진성의 좋은 전통인 7무운동도 정착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진성울타리에 있는 모든 교직원들의 자발성과 책무성을 동시에 중시하여, 결과적으로 졸업생, 재학생, 학교와 교직원 모두가 함께하고 만족할 수 있는 학교경영을 펼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사랑하는 진성고등학교 학생여러분!
그리고 교직원 여러분!
오늘 이 자리에서 저는 여러분께 간곡히 부탁드리겠습니다.
다시 한 번 도약해 봅시다.
진성의 새로운 10년을 다시 한 번 힘차게 만들어 가 봅시다.
저는 매우 부족한 사람입니다만 부족한 제가 이 자리에 다시 선 것은 그런 사명이 있었기 때문이며 여러분들과 함께 한다면 그 일을 꼭 해낼 수 있다는 믿음이 있기 때문입니다.
단지 교장 한 사람이 한다면 이 과업은 매우 어려운 일이겠지만 여러분과 함께 한다면 반드시 성취되리라고 믿습니다.
진성의 발전은 여러분이 주인공입니다.
본인은 진성고등학교가 대한민국에서 최고가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교장으로 솔선수범하며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08년 6월 16일 교장 최종규
취임사 -5
學校長 就任辭
1999.9.1 하동고등학교
오늘 바쁘신 중에도 이렇게 자리를 빛내주신 고영종 학교운영위원장님, 하정희 어머니회장님, 박대현 운영위원님과 동창회 조태규 회장님, 김중희 전 하동중학교 교장님, 그리고 여러 내빈과 학부모님들께 먼저 충심으로 감사의 뜻을 표합니다.
하동고등학교 학생 여러분 반갑습니다.
나는, 학생 여러분들이 참된 삶을 지향하는 건전하고 도덕적인 사람. 질 높은 삶을 추구하는 자주적이고 창조적인 사람이 되어 다가오는 21세기 새천년의 주역으로서 지식과 정보가 지배하는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에 적응하여 잘 살아갈 수 있도록 가르쳐야할 학교장으로서 무거운 책임을 지고 이 자리에 섰습니다.
그래서, 나는 교육의 본질을 되찾아 사람다운 품성을 가꾸는 인성교육과, 지식.정보를 종합하고 응용하고 재창조하는 창의력 교육에 역점을 두어 그 동안 쌓아온 지식과 경험을 살려서 학교 경영관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그리고, 항상 미래를 예측하여 비젼을 제시하고, 민주적 전문적 지도력을 발휘하여 새 학교문화 창조에 앞장서겠습니다.
우리학교의 주인은 바로 학생 여러분들입니다. 또한 학습활동의 주체도 바로 여러분 자신들입니다. 선생님들은 여러분들의 학습을 도와주는 조력자요 안내자입니다. 그러므로 학생 여러분들이 지적 호기심과 학습에 흥미를 가지고 자기 주도적으로 공부하고, 특별활동. 특기적성교육. 학급활동 등을 통해서 자기의 특기와 실력을 마음껏 발휘해야 합니다.
급변하는 미래사회는 형식적인 학벌보다는 창의력, 정보관리능력과 자율성을 중시하는 실질적인 능력위주의 사회가 됩니다. 그러므로 여러분들은 자신만이 잘 할 수 있는 타고난 소질과 특기를 최대한 살리고 창의력을 길러 자기가 하는 그 분야에서 일류가 되도록 노력하고 준비해야 합니다.
사람들은 모두 각기 다른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내 자신의 능력을 믿고 나도 이것만은 잘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져야 하며, 내 자신을 내가 먼저 좋아하고 존중하는 긍정적 자아개념을 항상 지니고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와 추진력을 길러야 합니다. 진정한 패자는 실패한 자가 아니라 포기하는 자입니다.
앞으로 나는 여러분들과도 가까이 대화를 나누면서 여러분들의 생각과 의견에 귀를 기울이겠습니다.
여러분들은 지리산 정기를 받고 산수 좋은 곳에 역사와 전통이 있는 학교에서 실력 있고 열성적인 선생님들에게 배우고 있는 행복한 사람입니다.
항상 선생님들을 존경하면서 가르침에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고, 열심히 준비해서 이 사회가 꼭 필요로 하는 사람이 되어주기를 거듭 당부하면서 이만 취임사에 갈음 합니다.
감사합니다.
취임사-6
▼윤종한 교장 취임사
1967. 4. 1∼1978. 2. 28.에 본교에서 봉직한 바 있었던 본인이 이제 전통과 실력이 있는 전국적 명문교인 본교에 근무하게 된 것을 무한한 영광으로 생각하며 긍지를 갖고 학교발전에 일익을 담당하고자 합니다. 본교는 37회 9910명의 졸업생들이 전국 각계 각층에서 국가 발전을 위한 중요한 임무를 담당하고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특히 본교에 부임하면서 감명 깊었던 것은 동창생 여러분의 모교에 대한 뜨거운 애교심과 후배에 대한 따뜻한 사랑이 어느 학교보다도 활활 타오르고 있다는데 깊은 감명을 받았습니다. 본인은 과거 봉직한 경험을 바탕으로 동문과 학부모님의 뜨거운 성원에 힘입어 학교발전을 위해 불철주야 노력할 것을 다짐하며 차제에 본교 교장으로서 학교 경영의 몇 가지 소신을 밝혀두고자 합니다.
첫째, 실력 있는 학생을 양성하는 것입니다. 우리 학교는 우수한 영재들이 모여 학생 본인은 물론 학부모님 및 지역사회 모든 사람들의 기대가 큰 학교입니다. 결과가 좋지 않을 때에는 주위의 매서운 눈총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여기에 부응하는 학습방법, 운영방법을 창안하여 모든 학생이 자기능력에 맞는 자기 실력을 쌓게 하는 것입니다.
둘째, 도덕적 인간을 육성하겠습니다. 오늘날 산업사회에서 비인간화, 학력위주의 사고에서 발생하는 이기주의 병폐를 극복하여 더불어 살아가는 이타심을 가진 인간다운 인간을 육성하는데 힘쓰겠습니다.
셋째, 화목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학생과 선생님들의 인화에 힘을 써서 편안하고 안락한 분위기 속에서 공부하도록 힘껏 노력하겠습니다. 이렇게 해서 이미 쌓아 올린 명문교의 찬란한 금자탑에 累가 되지 않도록, 또한 지금까지의 영광을 다시 한 번 전국 방방곡곡에 울려 퍼질 수 있도록 우리학교 모든 선생님과 학생, 그리고 학부모님과 혼연일체가 되어 노력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공주사대부고 동문 여러분의 행운을 빕니다.
감사합니다.
취임사-7
▼조남룡 교장 취임사
사람은 누구나 한두 가지 所願이 있습니다. 이 所願은 각자의 삶이 다르듯 사람마다 다를 것입니다. 평생 이룰 수 없는 所願도 있지만 그 所願을 이루기 위해 사람들은 부단히 애쓰며 살아갑니다. 사람은 儒弱한 存在입니다. 그러기에 宗敎를 만들었고 또 神을 믿게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자신의 所願을들어 달라고 神에게 빌기도 합니다. 하지만 나에게는 所願이 없습니다. 그러니 宗敎도 있을 리 없습니다. 그러나 나에게는 언제부터인가 所重한 것 하나를 마음에 품고 살아가게 되었습니다. 公州師大附高! 학창시절 나를 키워준 곳. 나에게 있어서 附高는 언제나 마음의 故鄕이자 宗敎 그 자체였습니다. 敎師로, 校監으로在職하였고, 이제는 敎長으로서 내 마음의 神을 모신 神殿에 다시 엄숙하게 섰습니다.
師大附高 學生 여러분!
나는 여러분에게 몇 가지 당부하고자 합니다.
첫째로, 우리는 全國 最高의 學力을 지켜 나가는 傳統있는 學生으로서 당당한 自矜心을 가집시다. 學力은 곧 힘입니다. 세상이 아무리 변한다 하여도 힘이 있으면, 곧 能力이 있으면難關을 헤쳐 나갈 수 있는 것입니다. 넓은 세계로 飛翔하기 위해 우리 모두 附高人으로서의 自負心과 矜持를 갖고 여러분의 先輩들이 이룩한 傳統을 더욱 빛낼 수 있도록 모두가 努力합시다.
둘째로, 學校 生活을 충실히 합시다. 여러분들이 이 학교를 卒業한 후, 學校 生活 3년간의 발자취가 텅빈 공간으로 남지 않도록 하루하루를 알차게 일궈 나갑시다. 그리하여 여러분들이 품은 遠大한 理想을 實現할 수 있는 智慧를 쌓아 갑시다.
셋째로, 나와 이웃을 사랑하는 人間이 됩시다. 오늘의 여러분이 있기까지 여러분들은 주위의 많은 도움을 받고 恩惠를 입었습니다. 물론 앞으로도 그럴 것입니다. 훗날 여러분들이 社會에 나가는 날 이는 반드시 이웃에 대한 사랑으로 還元되어야 합니다.
人生의 主體는 바로 '나' 자신입니다. 자기를 사랑하지 않으면 남도 사랑할 수 없습니다. 人間의 至重한 價値를 認識하고 나와 이웃을 사랑하는 사람이 됩시다. 끝으로 우리 모두의 故鄕인 公州師大附高의 未來가 더욱 찬란하기를 祈願하면서 이만 줄입니다.
취임사-8
안녕하십니까? 00초등학교에 교장으로 부임하는 000입니다.
겨울의 끝자락을 뒤로하고 따뜻한 봄을 예감하게 되는 이때 00교육가족을 만나뵙게 되어 기쁩니다. 교장이라는 중책을 맠게 되어 어깨가 무겁습니다만 00초등학교가 으뜸으로 자리배김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나는 이학교의 교장으로서 다음과 같은 교육을 실천할 것입니다.
어린이들을 기본실력이 다져진 사람을 키우겠습니다. 나무는 뿌리가 튼튼해야 잎이 무성하고 열매가 맺습니다. 샘이 깊은 물은 내를 이루어 바다에까지 갑니다. 이런 자연의 섭리와 같이 기초가 없는 공부는 더 전진할 수 없습니다. 초등학교 교육은 무엇보다도 ‘기본교육’을 강조해야 합니다. 기본이 충실한 교육을 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노력을 기울일 것입니다.
인간미가 풍부한 학생으로 가르치기 위해서 인격교육을 할 것입니다. 나만 아는 이기심을 버리고 더불어 사는 세상임을 가르칠 것입니다. 자각할 줄알고 존경의 대상으로서의 가치를 지닌 사람, 인격인으로 가르칠 것입니다.
창의력을 가진 지성인으로 육성하고 싶습니다. 21세기는 지식 정보화의 시대입니다. 어제의 지식이 오늘 쓸모가 없는 지식이 되기도 합니다. 단순 암기 지식보다 탐구하고 연구하는 교육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이러한 기본교육 목표의 성취를 위해서는 반드시 노력이 요구됩니다. 마치 대장간 대장장이가 쇠를 뻘것케 달구어 쇠망치로 수백번 두드리는 과정을 거쳐 낫한자루를 완성하는 것은 피나는 노력의 결과입니다. 이렇게 하나의 목표를 향하여 꾸준히 노력하는 자세가 기본교육을 이루는 과정일 것입니다. 다 아는 바와 같이 추녀에 떨어지는 낙숫물이 주춧돌을 뚫는 것은 일관 된 노력의 결과입니다.
끝으로 여기 참석 해 주신 학부모님께 한 말씀 드리겠습니다. 교육의 시작은 가정이며 인간의 최초의 교사는 어머니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자식은 부모의 행위를 그대로 비추는 거울이라고 했습니다. 부모님께서는 가정이 올바른 교육의 장이 되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
저는 오늘 00초등학교 교육에 대한 방향을 기본교육에 두고 인격교육과지성인 교육을 강조했습니다. 교육은 혼자가 아니라 학생과 교사 그리고 학부모인 교육가족 모두가 뜻이 맞아야 휼륭한 작품이 만들어 진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00초등학교를 으뜸 교육의 요람으로 만들기 위하여 지극정성을 기우려 나가는 데 우리모두가 동참해 주실 것을 간곡히 부탁합니다.
감사합니다.
22. 3월2일 할일 보기 ‘예’
1. 인사 소개-전입교원 0명 전출교원 0명(유・초 관리자 포함)
2. 교사 학년배정 및 분장업무 발표-정해진 좌석 앉기
3. 부장 임용장 수여 4. 학급 반편성 자료 학년별 배부
5. 학생과의 첫 만남 당부, 계획협의, 약속 정하기, 좌석배치-신뢰감 형성 당부
6. 새 교실 입실 후 7. 시업식 - 11:00 정각 각 교실 실내 중계방송
8. 학생-오전 수업 후 급식 후 하교
9. 학년 학급별-정리정돈 사무인수인계(서류) 각 계협조 공문 확인 인증서발급의뢰
10. 교직원협의회-16:00 교무실 친목회 구성 제1회 교직원단합대회 개최
11. 5분 훈화, 전자결재시스템, 나이스, 학년말 방학중 공문처리 확인
12. 교무실 개인서류함, 오리엔테이션 실시.
13. 입학식 준비 만전-1학년 담임교사 6학년 협조 축하이벤트 구상, 플래카드
14. 본교 증개축 공사에 따른 비상적 학교교육과정운영으로 정상적 목표달성
15. 재적수 확실시 파악-전입학 유예 교류학습자 파악 등
16. 신입생 입학자수 보고
17. 신규교사 전력조회 호봉획정 인사카드 기록 나이스 기록
18. 전입교원-인사카드 나이스 전산기록 획인-교감,
19. 전 교원-정기승급 일자 획인-파악-교감,
20. 정현원 보고-교무 21. 부장 임용현황 보고-교무
22. 전담교사현황 보고-연구
23. 교내 교직원 의사소통-메신저, 인터폰, 방송 등-부별 추진계획 주지 홍보 협조
24. 자기분장업무 조속 파악-전임자, 전년도 추진계획및실적기록파악(보관), 금년도상황 파악
25. 학급운영-초등교사 노하우자료, 인간중심주의적 교육자료
26. 교실배치도 27. 종합감사-3년마다
28. 요청장학-1학기 실시
29. 증개축 공사-실무부장(교무부장, 행정부장, 각부부장 전교사)
30. 학급표찰 확인 31. 학교혁신-행정(행동강령, 공직기강) 연구(혁신) 두 축
32. 6학년 사무추진-수학여행, 앨범 33. 공익근무요원
34. 유예자 명부 통보 확인 35. 월중행사계획 추진 협조
36. 청소 책임 구역도 37. 전임자-파일자료 인수
38. 학교교육과정 및 요람-인쇄 착수 39. 2008 출석부 편철 확인
40. 2008 근무상황부 출력 편철 41. 학생 등교시간 지도-교원 출퇴근시간 주지
42. 발령대장 43. 2009 주요업무계획 활용 참조-특히 연구
44. 00교육청 특화사업
45. 개인의 전문적 성장발달-연구보고서 수업연구 S/W제작 과학전 발명전 학생지도실적유공
46. 교원명부 자료 파악-기한내 완성 47. 09 교사명 코팅 부착
48. 실내실외 환경 계획 실태 구상착수 49. 주간일정 운영표
50. 2008 학교일지 편철 51. 학교홈피 조속 수정 착수
2009 학교현황 및 추진일람
00초등학교
*인사-진심환영,학교위치열악,전임교사칭찬수고-실적,신임교사-00지역고향
행복,만족,보람,톨스토이-의문
1. 부장 임용장 2 .교실 배치도-복사-3-5반 배치 특수아배려
3. 교원명부-교무인계-제출일자 확인 제출 부수 *학급표찰-확인-행정
4. 2009 정원
*초등학교
1) 관리자-교장 교감 2) 담임교사-담임교사 00명(여자 00, 남자 00)
3) 전담교사-3명(여) (영어-5,6 영어+도덕-3,4 음악-5,6)
4) 보건교사 1(여) 5) 특수교사 1(여)
총 37명(여자25명, 남자12명)
*병설유치원
1. 관리자-원감1(여) 2. 유교사4명(여) 총 5명(여)
유초-42명(총교원)
*행정직
1.행정주사1(남) 2.행정서기1(남) 3.영양교사1(여) 4.기능직2(남1여1) 5.조리원9(여)
*보조교사
1.교원보조1여 2.과학보조1여 3.급식보조1여 4.특수보조1여 5.유치원보조2여
1. 학급편성 학년별 봉투-신명수 25일 확인 2. 공문서류함-성명 부착
3. 교무실 칠판-교사성명 교체 4. 발령대장-부장교사 기록
5. 학년사무분장 원칙 고려사항
남여비율, 연령비율, 부장비율-남여,학년, 학년에 직능별 사무색채,
체육지도교사, 희망사항고려, 원로교사, 고령교사, 임신교사, 특기고려
당초 인사분장의 원칙-희석 당초보다
6. 타사도 전입자-인사카드 제출 7. 부장 소개
8. 전입교원수
1)초교사-00명(000-00교 전입.....)
2)유원감-000(00병설) 유교사-000(00병설)
3)보건교사-000(00전입)
4)기간제교사-000소개
*단합대회-2009.3.2.저녁 *전입교원-자녀 유치원 취학처리
*전입교원-1학년 입학 *캡스-설명
*교사개축-설명 *전출입사무처리-소개
*전입교원-반명함판 사진1매 준비(현관-직원현황) *육영자-경력증명서
*교육청 정현원보고-일괄(별도양식) *정기승급-조사
*3.2 오후4시-나이스인증서,전자결재,출장복무-나이스,5분훈화, 오리엔테이션, 주간일정, 연구업무,단합대회,청소구역,교실청소정리,
*사무인수인계서-열쇠,인수인계서(교무,전출교원 확인-25일 아침)
*학교연혁,졸업회수-소개 72회 * 통근버스-이용교사-이혜전
*책걸상-행정실,각부장 * 2.28. 점심해결
*3월중행사-교무 * 보조교사-채용계약 완료
*보고문서-챙기기-새사무 확인 *축전치기-명단뽑기
*인명부-정리 *중단기학교과제-개축,옹벽,배수로,심야전기보일러 등
*전입교원-오리엔테이션 자료 제작
2009년도 교무추진 일람
00초등학교
순 |
항 목 |
시 기 |
담 당 |
비 고 |
1 |
학교 현황-학급수,학생수 교사정원,교실수 |
3. 2 |
교무부장 |
□성비,능력,연령,거주 |
2 |
학교연혁-제00회 졸업 |
3. 2 |
교무부장 |
|
3 |
사무분장 확인-사무인계 |
3. 2 |
교감 |
□공문 확인 |
4 |
교사 신발장 배분 |
3. 2 |
행정부장 |
|
5 |
교육과정운영-주5일제 |
연중 |
연구부장 |
|
6 |
00초급식 운영 안내 |
3. 2 |
영양사 |
|
7 |
일정표 운영 안내 (일일,주간) |
3. 2 |
교무부장 |
|
8 |
청소 구역도 |
연중 |
생명환경부장 |
|
9 |
교사 서류함 이용 |
연중 |
교무부장, 강영인 |
|
10 |
공문의 분류및 처리 안내 |
3. 2 |
교무부장 전자결재시스템 |
□문서고, 캐비넷 2월말에 온 공문 |
순 |
항 목 |
시 기 |
담 당 |
비 고 |
11 |
학교 홈페이지 안내 |
3. 2 |
정보화교육부장 |
http//:mansung.es.kr |
12 |
본교의 지정 종목 |
연중 |
건강체육부장 |
육상,배드민턴,태권도 |
13 |
정기승급 확인 |
3.2 |
교감, |
분기별 확인 |
14 |
학교 전화번호 : 535-3190 |
3. 2 |
행정실장 |
□착신용 전화-안내문:학년부장 |
15 |
비상연락 체계 |
연중 |
교무부장,행정부장 |
□교직원전화카드제작 □휴대폰 번호 고지 |
16 |
전담실 확보 |
3.2 |
연구 |
어학실,음악실 |
17 |
인증서신청(neis,전자결재) |
3.2 |
neis담당,행정이규홍 |
|
18 |
기본생활습관,학습훈련 |
3월 첫주중 |
윤리,연구부장,담임 |
|
19 |
교육과정 이수 안내 |
3.2 |
연구부장 |
시간표,주5일제 |
20 |
특기적성운영 |
연중 |
000부장님 |
□13-15개 부서 운영 |
21 |
교원명부 작성 기초조사 |
3. 8일한 보고 |
교무부장 |
□정기승급기간조사 (관보14695호2001.1.4.) |
22 |
입학식 안내 |
3. 3 |
교무부장,1담임,6담임 |
□3.3 목.10:00시 |
23 |
책걸상 교체 안내 |
3. 3 |
학년부장, |
□학년부장 숙지 |
24 |
2005 학교교육과정 숙지 |
3.2-3.12 |
전 교직원 |
|
25 |
아동명부 작성 |
3월 첫주중 |
교무부장, 각 담임 |
□학년부장-배부 세대수-고학년 기준 |
26 |
출석부 작성 |
3. 2 |
신명수, 각 담임 |
□나이스 기록요령 |
27 |
직원체육 운영 |
연중 |
건강체육부장 |
□꼭 실시, 전원 참석 |
28 |
친목회 구성 |
3.2 |
친목회 |
|
29 |
보결수업철 |
3월 1주중 |
교무부장 |
|
30 |
주차 안내 |
3. 2 |
행정부장 |
|
31 |
캡스 안내 |
3.2 |
행정부장 |
|
32 |
교통반 운영 |
연중 |
담당자 |
학생,어머니 |
33 |
교과서 지급 상황 |
3. 3 |
담당자 |
|
34 |
우리학구 인식 |
3. 2 |
교무부장 |
□거주별 학생현황 |
35 |
2009 00초 교직원 단합대회 |
3.2 |
친목회 |
0000식당 오후5:00 |
23. 합리적 의사결정
2008여름방학 자율연수 보고서 용덕초등학교 교감 최종환
Ⅰ. 목표 :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경영기법 습득 및 상황에 따른 의사결정 대처역량 증진 시킨다.
Ⅱ. 문제 해결 프로센서
①현상파악 ②목표 명확히 ➪ 상황분석(SA)
③차이=문제 ④원인 파악 ➪ 원인분석(CA)
⑤대안(S) ➪ 위험분석(RA) ➪ ⑥실행(1) ➪ 의사결정(DM)
⑦실행 ⑧검토
Ⅲ. 의사결정
1. 과제선정(1) : 수련활동 장소 설정 ‘예’
2. 결정목표
가) 절대목표 : 최소한 이것만 도달, 수용가능, 안전, 일정, 거리
나) 희망목표 : 절대적 목표를 통과한 것을 상호비교한다. 이해당사자 모여 협의 결정
팀원이 모여 우선순위 결정- 정량화
3. 정보
4. 판단 : 상대적 비교-가장 좋은 것은 10점부터 9전,8점, 7점, 6점.....
5. 위험 분석(P・S분석) : P(Probality:가능성) ➪ S(Seriousness:심각성)
Ⅳ. 판단 ‘예’
구분 |
A안 |
B안 |
C안 |
D안 | |||
거리 (6점) |
. |
95km |
7점x(6)=42 |
80km |
8점x(6)=48 |
75km |
10점x(6)=60 |
비용 (8점) |
. |
45,000원 |
10점x(8)=80 |
49,000원 |
8점x(8)=64 |
47,000원 |
7점x(8)=56 |
안전 (10점) |
. |
상 |
10점x(10)=100 |
중 |
5점x(10)=50 |
중 |
5점x(10)=50 |
프로그램 (5점) |
. |
가능 |
10점x(5)=50 |
가능 |
10점x(5)=50 |
가능 |
10점x(5)=50 |
계 |
|
272 |
212 |
216 |
Ⅴ. 위험분석 ‘예’
대안 선택기준 |
1안 |
2안 |
| |||
GO |
NO GO |
GO |
NO GO | |||
절대목표=정보 인당수련경비5만 100km이내 계획일정 315명 수용 |
|
|
|
|
잠재적 위험요인 P평가 S평가 교통문제 L M | |
희망목표 |
점수 |
|
|
|
|
|
안전 |
10 | |||||
수련효과 |
9 | |||||
이동 |
8 | |||||
수련경비 |
8 | |||||
교통비 |
7 | |||||
수련코스 |
6 | |||||
시기 |
6 | |||||
거리 |
5 |
Ⅵ. 의사결정 과정
1. 정보활동 : 상황분석 - 문제를 인식하고 의사결정을 해야 될 상황을 찾는 단계
2. 설계활동 : 원인분석 - 문제의 성격을 파악하고 가능한 행동지침을 창안하여 발전시키고 분리시키는 단계
3. 선택활동 :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모든 방안을 탐색해서 가장 이상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방안을 선택하는 단계
◎ 해야 할 것인가, 하지 말아야 할 것인가? ◎ Yes 인가 No인가? ◎ 지금 할 것인가? 나중에 할 것인가? ◎ 혼자 결정 할 것인가? 함께 토론하여 결정 할 것인가? ◎ 성공적인 경영활동을 위해서는 향상 빠르고 보다 효과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어야 한다. ◎ 또한 자신의 결정이 구성원들과 팀 전체에 어떤 영향을 끼칠 것인가에 대해서도 향상 염두에 두기 |
Ⅶ. 경영에서 의사결정
경영자나 리더의 가장 중요한 직무이고 일상적인 경영활동으로 경영활동의전 과정이 의사결정활동이다.
1. 계획 (Planning) - 조직의 목적, 목표, 전략 등
2. 조직화(역할 분담) (organizing) - 조직의 구조, 조직의 직무 설계 등
3. 지휘 (directing) - 조직원에 대한 동기부여, 활동 지시, 갈등해결 등
4. 통제 (controlling) - monitoring, comparing, correcting 등
Ⅷ. 의사결정(Edge)
여러 개의 대안 중 최대의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대안을 선택하는 과정]
문제의 인식 |
대안의 선정 |
대안의 선택 |
⇧ ⇩
결과평가와 피드백 |
의사결정 실행 |
대안의 결정 (중요성-실행가능성) |
보건복지부가 특이한 질병의 발생에 대비하고 있다고 하자. 이 병으로 600명이 사망할 것으로 추정된다 |
상황 1.
제1안 : 이 안이 채택되면 200명이 살수 있다.
제2안 : 이 안이 채택되면 600명 모두 살 확률이 1/3이고 아무도 살 수 없는 확률은 2/3이다.
➪ 어떤 안을 선택 할 것인가? 1안 긍정, 2안 부정
상황 2.
제1안 : 이 안이 채택되면 400명이 죽는다.
제2안 : 이 안이 채택되면 아무도 죽지 않을 확률이 1/3이고 모두가 죽을 확률이 2/3이다.
➪ 어떤 안을 선택 할 것인가? 1안 부정, 2안 긍정
사람은 이익이 준거점이 될 때는 위험을 회피하지만, 손해가 준거점일 때는 위험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조직구성원들은 ‘의사결정’에 참여함으로서 결정 기여했다는 긍지를 느낀다. 의사결정이라 하면 사념적(思念的)이고 선험적(先驗的) 개념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많다. 의사결정자가 둘 이상의 길은 대안(代案) 또는 방안(方案) 이 된다.
Ⅸ. 합리적 의사 결정
1. 합리적 의사결정의 기준
가. 문제의 명확성 : 문제는 명확하고 애매하지 않다.
나. 목표의 판정기준 : 단일의 잘 정의된 목표가 달성될 것이다.
다. 알려진 선택사항 : 모든 대체안과 결과가 알려져 있다.
라. 명확한 우선권 : 우선권이 명확하다.
마. 고정된 우선권 : 우선권이 정해져 있으면 안정적이다.
바. 최대이득 : 최종선택이 경제적 이득을 최대화한다.
2. 합리적 의사결정 5가지
가. 사회적 의사결정 : 사회적 의사결정은 역할 및 가치의 갈등에 의해 동기화되는 데 역할간에 또는 역할 내에서 가치의 갈등이 존재할 때 문제해결을 시도하는 것이며, 새로운 역할의 습득과 관리역할의 수정, 그리고 책무, 신념, 이상, 역할기대의 갈등을 다룬다.
나. 경제적 의사결정 : 경제적 의사결정은 많은 목표를 달성하기위해 부족한 자원을 할당하는데 중점을 두는 것으로 제한된 자원과 다수의 목표를 가진 상황에서 희소한 자원의 유용성을 최대화하기 위한 결정이며 개인 및 가족은 다양한 목표에 비하여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있으므로 가정 경영에서 경제적 의사결정의 비중이 크다.
다. 기술적 의사결정 : 사회적 결정과 경제적 결정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한가지 특정한 목표의 달성을 위한 결정이다. 이것은 이미 결정된 것을 수행하는 절차가 강조되며 일상적인 직무를 달성하고 구성원의 활동을 실행하는 방법에 관련된다. 그러므로 최선의 방법이 한번 결정되면 관례가 되며 더 이상의 의식적이고 사려 깊은 결정은 요구되지 않는다.
라. 법적 의사결정 : 사회적 결정으로 해결할 수 없는 명백하고 지속적인 이권대립 때문에 필요하며 규범을 실제 상황에 적응시키는 것이다. 정치적 의사결정과 마찬가지로 법적 의사결정은 항상 전체 집단의 이해에 관계되므로 공적이다.
마. 정치적 의사결정 : 정치적 의사 결정에 대한 결정 즉, 개인이나 집단이 결정을 어떤 체계적인 방법으로 결정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이다. 이것은 의사결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다루는 것이며 의사결정구조 그 자체를 의미한다.
Ⅹ. 의사결정 유형
1. 정형적 의사결정
예측 가능한 상황에서 예측 가능한 결과를 선택하는 의사결정
일상적이고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구조화된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의사결정을 위한 규칙이나 표준업무 절차와 같은 프로그램을 문서화하여 활용
특 징
대부분 하위관리자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조직의 내적인 문제에 초점을 둔다
분명히 알려진 문제와 해결대안을 평가하여 결정한다.
계획적인 의사결정으로서 조직을 계속유지 개선하는 의사결정이다.
2. 비형식적 의사 결정
독특한 상황에서 예측할 수 있는 결과를 선택하는 의사결정
리더가 문제를 분명히 알지 못한 상황에서 예상할수 없는 미래에 대해 의사결정 하는 경우
프로그램화(정형화)할 여지가 적고, 개인의 경험-판단-직관 등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음
특 징
장기적인 전략이나 조직의 생존 문제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최고경영층 수준에서 이루어짐
조직이 예상 할 수 없는 혁신적이며 창조적인 문제 즉 ‘예외문제’를 다룬다.
최초의 결정이나 여유 있는 결정을 할 수 없다.
3. 전략적 의사결정
내부문제보다는 주로 외부문제에 관한 의사결정으로 외부환경의 변화에 전체를 적응시키기 위한 결정
4. 관리적 의사 결정
내부문제에 관한 결정으로 전략적 의사결정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여러 자원을 활용함에 있어서 그 성과가 극대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조직은 전술적 의사결정
보통 중간관리 층에 의하여 이루어짐
조직구조의 변경, 정보의 흐름, 입지결정, 그밖의 교육훈련 및 개발, 자본, 설비 조달 등,
5. 업무적 의사결정
전략적, 관리적 의사결정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변화 과정에 있어서 자원의 능률과 효률을 최대화하는 것과 관련된 의사결정
6. 확실성하의 의시결정
문제와 해결대안에 대하여 알고 있고, 그 대안을 채택했을 경우 해결될 결과도 알 수 있으며, 또한 최선의 대체안을 선택하는 기준도 알고 있는 상황에서 의사결정
선정된 기준에 따라 각 대안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모든 대체안 중 최선의 것을 선택할 수 있다.
탐색과정이 거의 필요하지 않으며, 일선 관리자에 의하여 결정이 이루어진다.
7. 위험성하의 의사결정
리더가 문제 해결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대안에 대해서 불충분 하지만 정보를 가지고 있으면서 대안과 관련된 결과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고 가정하는 상태
8. 불확실성하의 의사결정 : 경영자가 문제해결에 대한 정보도 부족하고 결과에 대한 확률도 알수 없는 상태로서 문제해결이 가장 어려운 상태
9. 개인적 의사결정 : 경영자 자신의 정보에 입각해 독자적으로 해결대안 선택하여 결정
10. 집단적 의사결정 : 조직구성원의 참여에 의한 집단적 의사결정모든 경우에 효과적인 것이 아니고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세모학교의 졸업 수련회 의사결정
① 일정 : 2박3일 ② 수련활동비(숙박비) 인당 5만원이내 ③ 장소 : 학교로부터 100km 이내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할수 있는 곳 ④ 참가여부:참가대상 320명, 중 300명 참가 |
학운위에서 추가
① 일정은 2박3일 하되 행사일정계획에 명시된 4째주 후반(수목금)보다 가급적 앞당기기
② 수련활동비는 5만원으로 책정하고 참가자는 이달말까지 스쿨벵킹 구좌로 입금
③ 참가하지 못하는 20명은 현장체험학습 또는 도서실 수업으로 출속 인정
④ 장소는 가까우면서 교통편이 용이하되, 졸업수련 취지에 맞게 애향심고취, 문화유적 탐방 및 자연 체험탐사 프로그램 병행운영 할 수 있는곳을 선정
★ 인솔 교사는 교감선생님 포함하여 15명이며 숙식비용은 통상 수련기관에서 무상으로 제공
후보지 현황
1안. 지주 해양연수원
서해 낙조와 더불어 갯벌탐사를 비롯 자연환경을 이용한 체험학습명소로 알려짐
버스로 약62km 거리 썰물때 1km 가까이 물빠짐, 10분거리 해양박물관, 2박 숙박1인당 28,000원, 식비6식 15,000원, 전세버스는 대형 7대 임차되어야 하며 대당 45만원소요, 대중교통은 어려움, 숙소 수용한계 300명이라 인솔교사 숙소문제, 다음달 셋째주 수목금가능 함
2안 푸른 청소년 센터
야외학습장과 잔디구장을 갖춘 전문 수련원, 8천평 넘는 체력단련 코스와 산책로, 학교로부터80km 거리, 차로 30분거리에 왕릉등 역사유적과 백제박물관있음, 숙박비는 인당 3만원, 교통수단 전세버스이용 모두 350만원 전세버스예약 서두르지 않으면 50만원 추가비용 발생 우려, 캠프파이어 무료제공, 2년전 몇몇 화상 입은 일 있어 선생님들은 꺼리하고 있음, 450명 동시 수용할수 있는 숙소와 대강당 보유 일정은 넷째 주 수목금 가능함 앞당기기는 어려움
3안 하얀 유스호텔
온천관관지에 위치 국제적 시설규모와 각종 편의 시설로 사계절 관광객 끊이지 않음, 도로50분정도 트래킹 코스로 오를 수 있는 해발 600m 산과 명찰이 있어 2일차 극기훈련 코스로 좋은, 등산후 야외풀장에서 온천무료, 학생들에게 특별활인 적용 숙비 32,000원 식비 18,000원, 교통편 발달로 학교에서 2km정도 떨어진 시외버스 정류장에서 직행버스이용가능, 거리는45km 교통비는 임차료 절반수준 집합과 출발 인원파악 쉽지않으며 차량별로 시차가발생,1000명까지 수용, 넷째주 월화수가능 수용복 등 준비물 과다하고 지난 봄 식중독 발생했음
4안 보라 연수타운
강언덕의 넓은 벌판에 자리한 연수타운은 온갖 희귀식물 조경 됨, 강하구에 형성된 호수와 섬을 잇는 구르다리, 상시 민속공연과 미술관이 있어 전통문화 체험과 심신수련적격, 레프팅 코스로 전국에 알려짐, 기차역에서 도보로 10분 정도면 갈수 있는 곳, 학교에서 5km 정도떨어진 기차역에서 무궁화호로 세정거장 오면 되므로 50km 정도의 됨, 안전성은 최상, 교통비는 버스임차료 60% 전도, 기차 시간 맞추기위해 수련프로그램을 축소 운영, 일시에 800명 수용가능, 숙식비는 45,000원로 저렴함, 래프팅이나 유람선 무료제공 민속미술관도 무료제공, 스케줄이 꽉차있어 다음 주 4째주 이후에야 가능 연기해주기를 연수타운에서 요구
24, 수요자가 만족하는 행복한 학교(3)
최종환
Ⅰ. 필요성 및 목적
교장은 학교교육이 가치 있고 의미 있는 목적을 새롭게 설정하고 비전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산업사회의 패러다임이 표준화라면 지식정보화 사회는 맞춤화에 있으므로 사회변화에 따른 학교경영의 법적책임인 교장이 해야 할 가장 큰 급선무는 시대변화의 흐름을 제대로 읽어야 한다는 것이다.
학교 밖의 세계는 국제경쟁에서 생존하기 위해 자기개발을 위한 개혁과 창의성 개발을 위해 쉴새없이 교육훈련을 받아왔다.
물론 학교의 현장상황은 기업체와는 달리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 즉 학생의 요구, 학부모의 요구, 교사의 요구, 교장의 요구, 지역사화 구성원의 요구, 교원단체들의 요구, 시민단체의 요구, 교육행정 기관의 요구, 국가의 요구 등 다양한 기관이나 구성원들로부터 엄청날 정도의 교육적, 정치적 행정적 요구나 견제를 받아야 한다.
이를 위해 교장들은 시대변화의 흐름을 읽고 기업체의 CEO처럼 학교경영에 사활을 건 자기혁신을 해왔는가?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사회에 따라 학교도 변해야 한다. 변화의 중심에 학교장이 있다. 그러므로 교장은 교사보다 먼저 사회의 변화 흐름을 짚어 학교경영에 이러한 변화들을 상당부분 수용할 필요가 있으며 그 결단은 교장이 해야 한다.
학교교육이 의미 있고 가치 있는 목적을 재창조하지 않으면 학교교육의 존재의미는 위협을 받을 수 밖에 없다. 미래의 비전과 바람직한 인간상에 적합하고 새로운 교육목적을 정립하고 이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학교 문화를 형성하고, 학교개혁을 위해 교육의 비전과 목적이 어떤 식으로 제시되던 간에 그 비전과 목적을 실현해야할 당사자들이 공감하여 교육현실을 구성하는 규칙으로 유효해야 한다는 점과 교장의 교육비전과 목적을 재창출하고 그것을 교사와 학생, 학부모가 공유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Ⅱ. 행복한 학교 경영 방안
1. 교장의 비전과 지도성
비전은 보다 나은 나의 미래로 향하는 안내자이며, 도로지도 이다. 비전은 조직구성원들을 위하여 의미를 만드는 힘이다. 비전은 한 지도자가 조직구성원들에게 전달하는 바람직한 미래에 대한 개인적 심상이다. 일단 조직구성원이 지도자의 비전을 받아들이면 그들은 공유된 비전을 실현시키는 데 동참한다. 비전의 개념속에 함축된 의미는 지도성과 변화, 지도성과 관리에 대한 기본 가정이다.( 노민구, 교장의 역할과 지도성, 1996)
가. 조직의 비전
조직의 비전은 체제적 시각의 발달을 필요로 한다. 교장은 조직 내에 있는 모든 분리된 요소들이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를 이해해야 한다. 체제적 시각은 한 영역에서의 행동이 겉으로 보기에는 무관할지 모르지만 다른 영역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교장은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학교의 비전은 새로운 교육과정, 새 건물, 혹은 새로운 산출에 대한 비전 이상의 것이다. 학교의 비전은 교직원들이 어떤 특수한 기술적, 교육적 혁신 혹은 산출의 혁신이 교직원의 다른 요소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이해 할 수 있어야한다.
나. 미래의 비전
미래의 비전은 합리적, 분석적 과정과 직관적 과정 양자를 필요로 한다. 미래의 확실한 요소들은 항상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장래를 상상하기 위하여 합리적 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미래의 비전은 합리적 목표나 전통적인 목적설정 접근과는 다르다. 이것은 학교조직이 어떤 시점에서 어떻게 나타날 것인가에 대한 포괄적인 모습으로서, 그 속에는 조직의 외부환경 내에서 어떻게 위치 지워질 것이며 내적으로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가 포함되어 있다.
미래의 비전은 교직원의 비전에 대한 조직전체의 이해와 기대되는 경제적, 인구학적, 사회학적, 문화적 발달에 대한 가용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교장의 개인적 가치관과 신념 장래에는 무엇이 가능하며, 무엇이 선호 될 것인가에 대한 교장의 예감으로부터 나올 것이다.
교장이 장래에 대한 비전을 교직원들에게 어떻게 전달하며, 그 비전에 대한 교직원들의 헌신을 얻어낼 것인지가 문제로 남는다.
다. 개인적 비전
교장은 상황의 긍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 교장은 변화를 기회로 보며, 문제를 학습경험으로 본다. 경험으로부터 학습할 수 있고 변화를 기회로 볼 수 있는 능력은 교장에게 예기치 않던 상황 혹은 새로운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교장은 계속적으로 학교의 비전을 갱신하며, 필요한 기술과 능력을 습득 한다. 교장은 끊임없이 환경의 변화를 살피기 때문에 예기치 않은 일이 일어났을 때 알아채지 못하는 경우는 없다. 만약 어떤 결정이 기대했던 결과를 가져오지 않는 다거나 어떤 전략이 성공하지 못한다면 교장은 경험 그자체로부터 배울 것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한 하나의 긍정적인 것으로 생각한다. 교장은 학교를 이끌어가는 일에 즐거움과 자신이 하는 일을 즐기며 일들이 일어나게 하는 것으로부터 큰 만족감을 얻는다.
라. 전략적 비전
전략적 비전은 현재의 실체와 미래의 가능성을 학교조직과 교장에게 적합한 독특한 방법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로부터 진화되는 전략들은 교직원의 요구를 충족 시켜주고 그때 그때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해준다. 전략적 비전은 공식적인 기획 과정 혹은 교직원의 임우 기술이상의 것이다. 전략적 비전은 교장에게 행동으로 나타난 메시지가 말로써 표현된 메시지를 지지하도록 하는 일관성 있는 즉석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전략적 비전을 가진 교장은 일의 우선순위, 시간과 자원을 사용하는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2. 행복한 학교 경영비전
가. 학교 업무단위 효율화 방안
1) 불필요한 일 버리기
충분한 교수・학습시간 확보를 통한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하여 실천할 사항은
○ 일상적이고 관행적인 계획을 지양하고 지키기 힘든 지침 없앤다.
○ 전시적인 각종행사의 정비, 통합, 축소 운영
○ 불필요한 각종 위원회 통합운영
○ 과거로 회귀하지 않기 위해 분기별 교육과정운영 결과 점검
○ 학교운영 T/F팀 조직 운영
2) 혁신적이고 생산적인 회의 문화 조성
생동감 있고 활기찬 학교문화 조성을 위한 실천사항은
○ 주제가 있는 회의로 회의에서 결정된 사항은 반드시 실행하는 문화운영
○ 정보화 기기를 이용한 사이버 교무실운영 : 교무회보 활용, 온라인 훈화
○ 교직원의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회의 문화 운영
○ 전문성 신장과 관련한 정보교류 위주의 회의 문화 운영
○ 학교경영에 대한 구성원의 책무성 확인시킨다.
3) 결재 보고방식 개선
효율적인 업무처리를 통한 업무혁신 체제구축 실천사항으로
○ 위임 전결규정 확대운영에 의한 권한부여에 따른 책무인식
○ 결재 자료실 운영으로 결재시간 집중 예고제 운영
○ 전결자에 대한 신뢰도 구축으로 사전 보고 등의 이중적인 업무축소
4) 효율적인 업무시스템 구축 운영
효율적인 업무시스템을 통한 업무혁신체제를 구축하여 운영할 내용
○ 인턴넷을 활용을 통한 회의 운영
○ 파일서버를 통한 정보공유
○ 통합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한 정보공유
○ 정보화 기기를 통한 교육수요자 모니터링 활성화
나. 교원 전문능력 개발, 전문공동체 구축
1) 교원의 전문능력 개발
○ 실제 상황에서 할용 가능하고 학생들에게 호응을 얻을 수 있는 수업진행방법에 대한 정보 공유
○ 수업 및 생활지도 개선 사례에 대한 지식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회 제공
○ 현장의 호응도나 활용가능성이 높은 관련자료 제작 개발 기술 연수
○ 웹 기반자료 공유시스템 구축
○ 교원 전문성 관련 연구학교 운영실무자와 수업명사를 활용한 현장연수
○ 학급경영 기술정보 및 생활지도에 대한 지식정보 공유
○ 교과 및 생활지도 관련 1교사 1연구 사례 공개 및 공유
○ 수업 방법 개선을 위한 마이크로티칭 운영
수업1주일 전 세안작성 및 협의⇨수업실시⇨마이크로티칭⇨Feed back을 통한 수업적용
2) 교원의 전문능력 개발을 위한 전문 공동체 구축
○ 학년별, 교과별, 담당업무별 자율장학 및 직무연수 활성화
○ 주제별 스터디 그룹 운영과 교과동아리 활동 활성화
○ 신규교사 현장적응 위한 프로그램운영 및 멘토링제 운영
○ 연령대별 학습 팀 운영 및 교과연구화 활성화
○ 학교 간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교직원 ‘독서모임’ 운영
○ 분야별 전문가나 우수 교원 초청하는 전문가 초청 특강
○ 창의적인 수업개선을 위한 Cop(지식실천 공동체) 운영
다. 교과외 활동 이렇게!
1) 교과외 활동의 중요성
○ 학생에게 자기 주도적이고 창의적인 학습기회와 선택권 확대
○ 교과활동을 통하여 달성하기 어려운 범교과 학습과 자기 주도적 학습의 기회제공
○ 학교나 지역사회의 실정, 교원, 학생, 학부모 필요와 요구를 반영하여 학교 특성에 맞는 특색있는 교육과정 운영
2) 교과외 활동 내용
○ 시수감축으로 인한 부족한 학습량을 보완할 교과외 활동 교육과정의 재구성하여 운영 한다.
3) 교과외 활동의 운영방법
○ 탄력적으로 시간을 운영 한다.
○ 교과와 상호 보안적인 연계활동을 구성한다.
○ 다양한 학습 방법을 전개하며 지도교사에 인센티브를 부여한다.
4) 교과외 활동 운영 부서
○ 창의적으로 미래로 열어가는 발명교실 운영
○ 작은 도서관 운영으로 독서논술 교육 강화
○ 방과후 학교와 연계한 1인 1특기적성교육
라. 인성교육( 가슴을 열면 바르게 자란다)
1) 인성교육의 필요성
○학생들의 인성문제에 대한 심각한 현실을 교육현장에서 지도
○ 메머드학교, 교사업무의 과다, 통신매체 발달로 인한 인성교육 소홀 현상
○ 입시위주의 출세 지향적 가치관 팽배로 인성교육에 대한 방법 미숙
2) 인성교육의 방향
○ 학교공동체, 지역공동체가 함께 접근하는 통합적 인성교육강화
○ 사람 됨됨이 교육, 타인배려의 심성형성 교육, 자기성찰기회부여 교육강화로 바른 인성 터다지기
3) 인성교육 방법
지도, 단속, 훈화, 교화 등의 일방적이고 행동수정을 위한 단편적 지도에서 |
⇩
상호 공감형성을 통한 정서에 호소하는 자기수정의 생산적 활동으로 |
⇧
가슴열기 ・ 반복교육 ・ 칭찬교육 ・ 체험교육 ・ 믿음교육 ・ 만남교육 |
마. 학습부진학생 지도 특별 교실 운영
1) 기본방침
○ 학습이 가능한 모든 학생이 읽고・쓰고・셈할 수 있는 기초능력과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최저수준의 기본학습능력 배양
○ 학습부진학생에 대한 담임책임지도 교사의 책무성 강화
○ 맞춤식 개별학습을 통한 정규 교육과정 정상 이수
2) 세부 추진 계획
○ 입급 대상자 선정 : 기초학습 부진학생
○ 편성 : 무학년제 운영 원칙 1학급 15명 이내
○ 운영 시기 : 학기 중 방과 후 주당 5시간( 월 20시간 기준),
○ 강사채용 : 자격 국어. 수학 중등 자격증 소지자
3) 운영 방법
○ 특별교실 운영 계획
○ 기초학습 부진학생 책임지도(지도 실명제)
○ “다섯고리 책임 지도제” 운영 : 부진학생-담임-전담강사-친구-부모
○ 지도 결과 분석 및 평가 환류 : 분기별
○ 지도자료 :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제공 ‘기초학력 보정교육자료’, 각종 개별화 자료 활용・ 지도
바. 학부모 인력 pool 제 운영
1) 목적 : 학교 교육활동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적재적소에 최적의 학부모를 배치하여 학부모의 재능을 발휘하고 학교교육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다.
2) 방침
○ 학교 교육활동 전반을 주도적으로 함께 할 학부모 매니저를 선정한다.
○ 학부모를 직능별, 기능별, 동호별 등 다양하게 나누어 자신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 신청서를 검토하여 학교교육 활동에 필요한 인력을 선정・위촉한다.
3) 학부모 매니저 인력풀 신청자격
○ 00 초등학교에 학생을 둔 학부모
○ 학교 교육활동, 상담, 봉사활동(독서도 도미, 급식도우미, 녹색어머니회), 행사참여 등을 할 수 있는 교육에 관심과 봉사 정신이 강한 학부모
4) 학부모 매니저 인력풀제 등재신청 안내
○ 신청기간 : 2008.03.05 - 2008.03.15
○ 신청방법 : 학부모 매니저 인력풀 신청서를 작성하여 신청
5) 학부모 매니저 선정 통지 및 제출서류
○ 선정통지 : 신청서에 기입한 메일 또는 전화 통지
○ 제출서류 : 학부모 매니저 신분증을 위한 제반서류
○ 제출방법 : 학급담임, 담당교사
6) 학부모 매니저의 역할과 의무
○ 학교 교육활동 전반에 관심을 갖고 적극참여 한다.
○ 자신이 속한 매니저 그룹에 협조적이며 역할을 성실하게 수행한다.
○ 매월 말 그룹별로 자체 평가회를 갖는다.
사. 학교 물적자원의 효율적 활용
1) 학교 물적자원의 활용 실태
○ 학교자원에 대한 무관심과 허술한 관리
○ 자원을 적기에 적재적소에 투여하지 못함
○ 교사들이 자원에 대한 무관심은 자원을 함부로 여기는 심리상태
○ 학생들에게 비양심적, 비환경적 교육결과 초래
2) 학교 물적자원에 대한 생각을 바꾸면
○ 교사, 학생, 학부모 물적자원에 대한 바른 인식함양
○ 자원 재활용으로 비용절감 및 교육환경 개선
○ 자원을 적재적소에 투여함으로 교육의 질적향상 기여
○학생들에게 환경보호 및 물자절약 태도 심어주기
무엇을 |
|
변화지향 리더십 |
|
결과 |
• 교육기자재 • 교육시설물 • 기타물품 학습준비물 A4용지 |
|
• 혁신적 사고로 자료 활용극대화 • 실천적 사고로 마인드 구축 |
|
• 교육적 효과 • 경제적 효과 |
|
| |||
|
|
⇩
학교물적자원에 대한 교원들의 의식 전환 및 관리 방식 개선은 긍정적으로 교육의 질을 높임 |
아. 학교환경 개선
주제 : 시민휴식 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학교 숲 가꾸기
1) 학교 환경 혁신
○ 왜? 사회 환경의 변화에 의해 교육수요자의 만족을 위한 행복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
○ 무엇을? 다양화, 개방화, 기능과 디자인 고려, 인간중심 환경의 방향에 따라 깨끗하고 밝은 학교, 자연친화적 인간 중심학교, 지역사회의 문화공간 및 평생교육기관학교 조성으로 교육과정과 연계된 교육시설, 안전하고 편리한 시설공간의 효율적 활용
○ 어떻게? 학교환경 개선의 절차는 문제진단-대안모색-계획실행- 점검 및 피드백을 하며, 방안은 SWOT분석, 벤치ㅣ마킹, T/F팀운영 으로 시민 휴식 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학교 숲 가꾸기
2) 주요내용
○ 야생화 단지 및 운동장 잔디 가꾸기
○ 학교시설 개방으로 지역사회와 상호협조체제 구축
○ 자연 친화적 체험학습을 통한 인성교육
○ 학교 숲을 인근 주택단지 조성과 발맞추어 시민휴식 공간으로 활용
Ⅲ. 결론 및 기대되는 효과
성공적인 학교 경영은 교장 한사람 노력으로 해결하기 어렵다. 교사, 학부모, 구성원 모두를 포함한 학교공동체가 어떻게 하면 학생들의 교육을 보다 잘 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서 서로 지혜를 모으고 협력을 강화해 나가야 할 때 이다.
1. 결론
가. 변화를 두려워하는 학교에서 작은 것부터 바꾸어 나간다면 단위학교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운영 할 수 있을 것이다.
나. 교사들이 전무직으로서 교수・학습방법 개선과 전문성 신장을 위해 자기연찬에 부단히 노력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교육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교사의 자율권을 확보하여 교육과정운영의 효율화에 진정한 관심을 보일 것이다.
다. 교과외 활동으로 범교과 학습의 기회가 확대 되어 교육수요자들이 만족하는 교육활동이 이루어질 것이다.
라. 인성교육으로 학생들이 바른 품성을 가지고 타인을 배려하면서 더불어 살아가는 학교생활을 할 것이다.
마. 학습 부진아 지도로 기초・기본학력이 배양되어 자기주도적 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 될 것이다.
바. 학부모 인력 POOL제 운영으로 학교 교육활동에 학부모들이 적재적소 활동함으로써 교육 서비스 개선과 상호작용으로 교육환경이 개선될 것이다.
사. 생각을 바꾸면 자원이 보인다. 학교 물적자원 활용 실태를 파악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면 경제적 효과와 교육의 질을 높일 것이다.
아. 학교의 공원화를 위한 시설개방 숲 가꾸기로 쾌적한 환경을 조성 될 것이다.
자. 보편적인 경영보다는 수렴하는 과정을 거쳐 차별화되고 학교의 특수성을 살린 장기적 거시적 안목의 목표관리에 의한 개인과 조직의 목표에 대한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투입된 만큼 보다 더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는 역량을 발휘할 것이다.
2. 기대효과
가. 교사의 책무성 면에서 교사가 만족하는 교육이아니라 교육수요자가 만족하는 교육을 위해 전문가로서 수업공개는 공적인 활동으로 자기수업을 객관화함으로써 행복한 학교가 될 것이다.
나. 읽고・쓰고・셈하는 기초능력과 기본학습능력이 배양되며, 학습부진아 교실운영으로 교사의 기초학습 부진학생지도에 따른 업무부담이 경감될 뿐만 아니라 국민기초교육에 대한 담임의 책무성이 제고 될 것이다.
다. 교사는 자기가 가르친 학생에 대한 실명제로 책임질 수 있는 자질과 능력을 갖춤으로서 교육수요자가 만족하는 행복한 학교가 될 것이다.
라. 교장이 행복한 학교 비전제시로 학교와 교직원 모두가 자율성과 책무성을 존중하고 교육활동 개선을 위한 공동 노력의 과정으로 이해하려는 인식이 전환 될 것이다.
마. 학부모 인력 POOL제 운영 및 학교시설개방으로 지역민을 위한 평생교육, 지역사회 교육 센타로서 역할을 함으로 교육공동체의 활동이 다양하게 진행 될 것이며, 학부모들도 학교경영의 한 주체로서 확고한 주인의식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자세를 가질 것이다.
참고문헌 : 교장의 역할과 지도성( 노민구, 서울:성화사, 1996)
25. 교장의 리더십
고도의 정보화사회의 가치가 더욱 중요해 지고 있는 지식기반사회에서 교육의 책임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학교교육의 목적을 원활히 달성할 수 있도록 조장하는 학교경영의 최고 책임자인 교장의 학교경영 혁신의 의지는 학교교육의 질과 효과성에 중요한 요건이 될 수 있다.
1. 교육지도자로서 학교장의 리더십
오늘날 교육 및 학교의 상황이 너무나 다양하고 복잡하다. 따라서 현대 사회는 교장에게 보다 많은 역할 기대를 가지고 있으므로 지역사회, 학교-학교, 학교-사회간 관계에서는 교육의 내외적인 많은 제약을 극복하고 학교 내에서는 교직원을 이끌어갈 리더로서 최고경영자인 CEO인 교장
으로서 리더십은
첫째, 교육에 대한 확고한 철학을 갖고 비전을 제시하는 리더십을 발휘 할 것이다.
합법적 권위에 얽매여 경직적이고 기계적으로 조직을 경영하는 것이 아닌 장기적 비전과 확고한 교육관을 갖고 조직이 처한 상황을 고려하여 자율적이고 융통성있게 운영 한다.
둘째, 구성원 모두 참여하는 민주적 리더십을 발휘 할 것이다,
구성원들 모두가 참여하는 의사 결정을 통하여 조직을 합리적으로 운영하고, 최고관리자와 구성원들 사이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조직에 적극참여하도록 할 것이다.
셋 째, 교육전문가로서의 리더십을 발휘 할 것이다..
교육의 특수성 때문에 일반 행정적 기술뿐만 아니라 교육전문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교사를 도와 교육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넷째, 경영적 과업과 대인간 인화를 모두 중시하는 인간적 리더십을 발휘 할 것이다.
교육조직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해야 하지만 접근방식에 있어서 구성원들의 동기를 충분히 유발시키고 의욕을 높이며 상호존중의 인간적 조직풍토를 만들어 갈 것이다.
2. 학교영영자로서 학교장 리더십
리더는 그 조직의 운명을 좌우한다. 리더가 리더십을 갖추지 못할 때 조직 구성원들의 안위도 위태로운 상황을 맞게 된다. 오늘날 교장은 학교의 구성원인 교사와 학생,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풍토를 좌우한다. 성공적인 학교경영을 위한 교장의 역할은 다양한 관점에 따라 접근될 수 있지만 교육지도자로서의 교장의 리더십은
첫째, 성공적인 학교경영을 위한 교장은 변혁지향적 리더가 될 것이다.
리더는 구성원들과 거래로 이루어지는 교환적 리더십이 아니라 설득으로 교육 고유의 문화적 풍토를 유지하면서 구성원들에게 도덕적 윤리적으로 인간적 감화를 줄 수 있는 설득력를 발휘 할 것이다.
둘째, 학교경영을 위한 교장은 학교조직의 질 개선의 문화를 조성 할 것이다.
모든 조직은 그 나름대로 풍토를 가지고 있으며 조직의 풍토는 다른 조직과 구별되는 조직문화를 형성으로 학교경영의 질과 효과성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 학교경영의 본질적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학교조직의 학교규율과 질서를 유지하며 교육의 질 개선하기 위하여 교육적분위기를 조성 할 것이다.
셋째 학교의 중요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조직구성원들을 참여시키고 각자에게 권한을 위임할 겅이다.
구성원들의 참여를 이끌고 그들에게 적절한 권한을 부여 하여 자신의 지식, 경험, 직관, 창의성을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한다.
넷째. 교장은 교사나 학부모, 교육공동체 가족들과 학교교육의 비젼을 공유하기 위하여 시간을 가질 것이다.
학교경영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최대한 허용함으로써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고 학생들의 삶의 발달도 함께 도모 하며. 교장은 학교공동체 구성원들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지도력을 발휘 할 것이다.
다섯째, 교장은 학습조직 구축자로서 역할을 한다.
교장은 단순한 업무부서의 수장이 아니라 인재를 창조적으로 양성해가는 단위조직의 선장이기 때문이다. 학습조직 구축이란 학교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교직원이 공동의 목적하에 이를 달성하기 위해 가치관을 정립하고 스스로 실력을 기르고, 공동학습을 하고, 모든 상황을 거시적인 안목에서 바라보는 유기체적인 학습공동체 되도록 하겠다.
교장이 교육선도자로서의 가치관을 확립하고자 한다면 구성원들과 함께 학교를 학습조직으로 바꾸어 가치를 확립하고 그 가치를 수행․평가하여 가치의 재개념화를 지속적으로 추구해 가는 리더십을 발휘하겠다.
결론
21세기를 지향하는 교장의 리더십은 전통전인 권위주의와 감독의 개념에서 봉사와 조력, 권한위임의 개념으로 시대조류에 맞게 인식을 바꾸며 익숙해도 무성의 하지 않게 미리생각하고 계획하며 준비하는 교장으로서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고 나아가 교육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경영하겠다.
교장의 역할 기능
1. 학교경영과 교장의 지도성
가. 학교경영의 개념
학교경영이란 역동적인 관계속에서 인적 물적,자원을 총동원하여 학생의 바람직한 성장을 지도하는 것이다. 모든 교직원이 가지고 있는 잠재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교직원간의 인간관계를 조절하여 협동할 수 있도록 조장하고 학생들을 위한 공동목표를 위한 학교경영
나. 교장의 지도성
교장의 지도성은 학교나 지역사회에 교육적인 분위기를 조성한다든지, 교직원을 적재적소에 배치하여 일을 분담하여 업무효율성을 높이며, 평가결과를 통해 다음활동의 출발점으로 기획
학교는 교장의 열의 만큼 발전하고 학생은 교사의 정성만큼 성장 한다.
학교의 분위기, 학습풍토, 교사의 전문성, 근무의욕, 학생에 대한 관심정도를 결정하는 것이 교장의 지도성이라 볼수 있다.
첫 관리 기술적인 지도성 : 업무의 기획, 조직, 조정등을 통괄하는 능력
둘 인간관계 지도성 : 인간관계를 잘 이끄는 전문적인 지도성을 나타내야 한다.
셋 교육전문가로서의지도성 : 교수학습 방법, 교내장학에서 전문가로서의 임상적 실천가역할
넷 상징적인 최고 지도자로서 지도성 : 학교최고 지도자로 학교행정의 핵으로 업무는 물론 학교를 대표하는 위치
다섯 학교문하 건설자로서지도성 : 독특한 학교 문화를 건설함으로 다른 학교의 구성원과 구별
2. 교장의 역할 기능
교육은 교원의 능력만큼 발전한다. 따라서 교육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교원의 능력향상이 전제되어야한다. 학교도 교장의 능력만큼 발전한다고 볼 수 있다. 교장의 능력은 다음과 같은 교장의 학교경영관을 바탕으로 나타내야 한다.
가. 교장의 경영관
첫 책임은 교장에게 공훈은 교사에게 영광은 학생에게 돌리는 경관이필수 적
둘 학생개개인의 잠재능력과 소질을 최대한 개발하여 미래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인을 배양
셋 열린 행정 속에 관리․장학활동을 다양화하여 대화행정을 지속적으로 실천
넷 학생은 즐겁게 배우고, 교사는 기쁘게 가르치며, 학부모는 학교를 신뢰할 수 있는 교육여건 개선에 최선을 다함
나. 교장의 네 가지 역할과 기능
경영관을 바탕으로 학교장은 다음 네 가지 역할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해야한다.
첫 교육개혁의 선도자로서 역할기능
교장은 학교교육의 리더 역할을 잘하기 위해 교육활동의 모든 것을 설계하는 책임자로서 교육에 대한 지도자적 지혜와 탁월한 안목을 가지고 교원을 이끌어가야 한다. 즉 확고한 교육철학과 사명감을 가지고 학교를 운영
둘 학교경영 전문가로서 역할 기능
학교교육의 목표와 방향이 정해지면 교장은 교사들이 그러한 방향으로 교육활동을 전개 할 수 있도록 최선의 행․재정적, 심리적 지원을 하며, 학교경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예산 회계 인사 분야를 조정하여 문제를 해결
셋 장학지도자로서 역할 기능
교사의 전문적 자질함양과 학교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위하여 적절하게 권한과 의무를 발휘하여
교수학습 지도다의 역할을 한다.
넷 인간관계로서의 역할 기능
조직 내의 인화관계를 위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조직원의 사기를 높여주어 자발적으로 학급을 운영 할 수 있도록 한다.
결론
21세기의 교육환경의 변화에 대비하여 학교교육은 창의성과 인성교육에 더욱 노력하고, 교장은 교수․학습지도자, 학교경영 전문가, 지역사회 유대관계 구축과 학교변화의 촉진자로서 역할 수행을 충실히 수행할 것이며. 특히 학교구성원 모두가 공감하는 교육철학 가치관을 겸비하여 아날로그식 사고방식을 지양하며 디지털화된 운영방식으로 결집력과 응집력을 발휘할 것이다.
학교경영과 장학기능의 활성화
시대변화를 빠르게 받아들이지 못하는 학교조직의 속성 때문에 학교가 붕괴 한다. 우리교육 이대로 안된다. 내자녀는 내가 챙겨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는 공교육 불신으로 사교육은 엄청나게 성장하고 있다고 본다.
1. 장학의 본질과 방향
장학은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과 새로운 교육이론의 적용을 통하여 교수의 질을 향상 시키고 이를 통하여 교육과정의 질을 관리해 나가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 교사가 교직에 보람을 느끼고 가르치는 활동에 행복을 느끼게 해주는 장학이 되어야 한다. 장학은 교사의 수업기술을 향상시켜 자신감을 갖게 하고 교사의 자아실현을 도아 주닌데 보템이 되어야 한다.
2. 결론
장학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교육의 국제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있다. 학교는 체로 느슨한 관료조직으로 비교적 변화와 혁신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어 변화에 민감하지 못하다.
학교경영은 획일적인 학교경영에서 벗어나 학교마다 특색있는 경영 즉 경영차별화를 의미한다. 경영차 별화에 대한 평가는 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가 변화를 실감하여 스스로 만족도가 높아졌을 때 경영의 차별화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26. 창의적인 학교경영 실현을 위한 교장의 역할
창의적인 학교경영이란 조직학습을 통하여 전통적인 학교경영방법에서 벗어나 자기 학교의 특성에 맞는 새로운 경영방법을 창출하여 실천하는 것이다. 창의적인 학교경영을 학교현장에서 실천하기위하여 교장의 의지와 역할이 중요한 기능을 한다.
따라서 창의적인 학교경영의 특성을 설명하고 실천하기 위한 교장의 역할에 대하여
Ⅰ. 창의적인 학교경영
자유주의가 기반이 되어 정보하사회가 가속화 되면서 획일적인 한국화를 지양하고 교육도 정보화와 세계화를 도모하지 않으면 낙후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되는 세계화 사회가 현실이 되면서 과거의 집권화 되었던 정치와 행정은 주민이 주도하는 교육자치와 창의적인 학교경영과 같은 분권화를 통하여 특성화가 조장되어야 한다.
1. 학교단위 책임경영의 정착
학교가 자율적으로 기획하고 운영하며 평가하여 다시 환류하는 자율성이 보장되는 곳으로 바꾸어져야 학생들의 요구를 빠르게 파악하고 실천할 수 잇을 것이다. 단위학교 자율경영은 상급교육행정기관이 학교단위에 분권화된 참여 관리권을 부여한 것이다. 따라서 학교단위 책임경영의 이념과 철학을 실천하는 곳이어야 한다. 학교단위 책임경영은 단위학교가 주체적인 목표 설정, 필요한 자원의 자율적인 확보, 공평한 분배, 능률적인 운영 및 목표달성의 극대화를 구성원들이 공동체적인 노력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학교단위 책임경영을 하기 위해 궁극적인 목적은 학교교육 질을 향상하는 효과적인 학교를 만들기 위한 것이다.
2. 학교경영 개발로 전환
학교경영 개선은 협소하고 단기적이며 치료적인 경영변화의 개념이고 학교경영 개발은 포r괄적이며 장기적이고 형성적인 점에서 경영혁신의 한 개념이다.
학교경영개발은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이하여 학교목표, 교직원, 조직구조, 교육과정, 경영기술, 교수학습과정 등을 포함한 모든 부분에 대하여 연구하고 개발하려는 것이다,
3. 지식경영으로 전환
지식영영은 조직을 부분적으로 변화시키는 또 다른 새로운 수단이아니라 조직의 모든 것 즉 전략적 기법, 개발 기획, 참여적 경영, 조직형태, 업무방식, 학습형태, 연구개발, 인적자원 활용, 및 관리방법, 성과측정 방식등 정보를 수집하고 공유창조 활용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새롭게 변화시키는 인간중심의 경영기법이다. 따라서 조직 그 자체를 재설계하는 경영인 것이다.
Ⅱ. 창의적인 학교경영의 실현을 이한 기본방향
21세기 자본주의에 입각하여 자유경쟁 원리가 지배하는 사회다. 그러므로 학교도 자유경쟁원리에 기초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하여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와같은 상황에서 교육자치제의 기본정신인 자주성과 민주성 및 효율성이 학교경영에 도입되어 학교경영이 자율화, 민주화, 전문화로 승화 발전되어야 하겠다.
1. 자율적인 학교경영 : 학교경영 자율화는 학교가 그 조직운영에 관한 필요한 기준을 자주적으로 설정하고 집행하여 학교발전에 필요한 제반 시책을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독자적 창의적인 체제가 되는 것이다. 즉 교육가정 운영, 교수학습 방법, 학생생활지도, 교원인사, 시설,재정, 등 학교전반에 걸쳐 지역사회요구에 부합하도록 자율적으로 개선하고 그에 따르는 책무성 강화는 학교경영의 자율화를 촉진하게 될 건이다,
2. 분권화 된 학교경영 : 학교장의 각종 권한을 교감, 부장에게 적절하게 위임함으로써 가능하다. 중요한 의사결정에서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주민 등 광범위 한 참여와 또한 결정된 의사집행과정에서 권한의 위양과 업무의 분권화가 뒤 따라야 한다.
3. 참여적인 학교경영 : 학교경영의 민주화는 의사결정과정에서 교직원들의 참여가 활발해지고 전문적인 지식과 경영기술을 가지고 학교교육활동을 체계적이며 조직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가능하다
Ⅲ. 창의적인 학교경영을 위한 교장의 역할
법률적으로 주어진 교무통활권, 교직원지도감독권 및 학생교육권을 행사하기 위해서 교장의 경영활동에서 역할은 창의적인 학교경영의 이념을 실천하는 데 중요한 잣대다.
교장은 교육혁신 촉진자이자 지식경영 실천가여야 한다. 교장은 학교경영의 문제점을 조직구성원들이 스스로 파악하여 해결방안을 창안하면 이를 실천하는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교장은 창의적인 경영행위가 일어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역할을 조장하여야 한다.
1. 경영조직변화 촉진자
학교의 가본인 경영 활동을 기획하고 실천하며, 평가하고 환류하여 개선하려면 조직을 팀형태로 전환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현재의 사무중심에서 교육중심의 조직체계로 바꾸어야 한다.
학교에 구성된 각종 위원회를 이용하거나 태스크포스를 구성하여 특정사안에 대하여 기획활동을 하도록 열정과 헌신성 있는 팀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2. 기초연구 촉진자
일반적으로 바쁘다는 이유로 회의 자료가 회의시 배포되거나 만들어지지 않은경우도 있다. 회의 참석자들이 사전에 충분히 검토하여 필요한 추가자료를 받아 볼 수 있거나 나름대로 찾아서 회의시 타당한 의견이 제시 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누가 보더라도 관련자료들이 충실히 심사숙고한 안이 회의자료로 제시 되었다는 점을 보여줄 정도로 성실한 결과물이 만들어 져야 한다.
3. 민주주의 실천가
학교내에서 일어나는 일상적인 사항에 대하여 각종위원회에서 관계자들이 참여하여 충분히 토의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결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중요한 학교정책 결정과정이나 발전 계힉 등은 그 분야의 전문가의 의견도 들을 수 있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결 1.
학교경영이란 교육목표 내지 경영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학교체제내의 제반 인적 물적 자원 및 기술, 정보를 확보하여 그것을 계획, 조직, 평가하는 일련의 활동이라고 볼때 창의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학교장의 지도력을 펼치기 위해서는 학교장의 폭넓은 지도력이 요구된다.
독단적인 의사결정보다는 폭넓은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을 거치고 어느 학교나 보편적이고 판박이식의 틀에 짜인 경영보다는 차별화되고 학교의 특수성을 살린 역량을 발휘하여야 한다.
27. 학교장의 교육과정 리더십
1. 들어가며
학교장의 학교경영은 학교의 교육활동을 지원하고 조장하는 활동으로 학교의 핵심적인 교수・학습활동을 지원하고 학교 교육력 강화를 위하여 교육공동체의 참여를 높여 교육을 혁신하는 방향으로 이루기 위해
학교경영의 최고관리자인 교장의 리더십은 성공적인 학교경영에 있어서 필수적이며 교장의 능력과 자질은 학교경영에 있어서 큰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2. 창의적인 교육과정의 개발
학교경영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경영활동인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에 있어서 학교의 자율권이 보장되어 있으나 교육과정 개발은 국가수준에서 일률적으로 재정하여 적용시키고 그 결과를 확인하는 수준을 크게 벋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학교수준의 교육과정개발이 저조하므로 학교수준의 교육과정 개발을 현장에서 주도하기 위해
교장으로서 교육의 질 개선을 위해 교사, 학부모, 학생, 지역사회 인사들과의 의견수렴을 더욱 활발히 하며, 교사들의 교육과정 개발 전문성을 높이 기위해 자율연수를 실시해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 시간 배정도 학생의 필요나 교과, 학년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과정 운영, 교육내용, 방법의 선택권한을 교사에게 위임하여 학습교재를 개발해 나감으로써 교사와 학생의 교육권이 보장받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학교 운영위원회도 학교교육과정 개발에 참여 시켜 지역사회요구와 가용자원 활용으로 지역에 대한 정보를 학교내로 폭넓게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는 지렛대 역할을 해나갈 것이다.
3. 학교교육과정 편성의 문제점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방향을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을 편성・운영 한다’ 고 설정하여 출발하였으나 현장의 여건이 미흡하여 내실있게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
첫째, 수학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 적용의 취지는 대단히 바람직하나 실제로 학교현장에서는 이동수업 문제, 보충반 학생들의 자존심 문제, 학급내의 수준별 모둠 조직문제, 보충 지도를 위한 학부모의 반대, 소인수 학교에서 과중한 수업 및 업무부담, 교사의 열의부족이라 본다.
둘째, 재량활동시간의 운영 있어서 근본 취지는 학생 학부모의 요구에 의해서 교과나 주제가 선정되어 운영되어야 하나 학교현장은 본래취지와 다르게 교사의 관심이 않은 분야의 교과를 선택하거나, 전교생이 똑 같은 교과를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셋째, 특별활동 운영도 활동영역을 학교 실정에 따라 자유롭게 배정하되, 균형있게 시간배당을 하면 자치활동 영역이 과거보다 미흡하게 운영되고 있어
자라나는 학생들에게 민주시민으로서 자질을 함양시키는 자치활동 시간이부족하다.
4. 학교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창의적 학교경영 실현
가. 학교교육과정의 성격과 구성의 자율권
교육과정은 ‘학습자에게 학습경험을 선정하고 조직하여 교육경험의 질을 구체적으로 관리하는 교육의 기본설계도’라고 할 수 있다.
교육과정을 단순한 교육내용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교육목표, 내용, 방법이나 운영방식, 평가를 포괄하는 폭넓은 개념으로 보고, 학교교육과정 구성은 학교의 자율・재량권이 부여 되어 있으므로 학교육과정은 학교를 경영하는 교장의 교육적인 판단에 따라 학교가 창의성을 발휘하여 특색있게 구성한다.
나. 민주적이고 합리적인 학교교육계획 수립
학교교육계획은 교육과정을 체계화 하고 이에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을 산출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설계한 것이다.
즉 학교교육계획이 지향하는 목표와 내용, 방법과 운영, 평가에 관한 사항을 구체화한 학교교육과정과 이를 지원하는 교육투자, 예산, 예산, 교사수급, 교육자료, 시설・설비 등을 투입하기위한 기본설계도이다.
교육계획 수립의 과정에서 교원, 학생, 학부모, 지역주민등 학교공동체가 어떤 방식으로 참여하여 집결된 의사를 민주적이고 합리적으로 수렴하여 교육경영방향을 설정한다.
다.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정 실행
학교가 주어진 자원에 한정하여 수동적으로 교육가정을 운영해온 것이 사실이다.
학교에서는 수요자들의 특성과 학교의 전통, 교사조직, 시설・설비 등의 교육여건을 고려하여 공급자위주의 학교경영에서 수요자 위주의 학교경영으로 전화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교과목을 선택하여 능동적 자율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학습자중심의 교육과정’이 실현 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라. 자기주도적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지식・정보중심의 사회로 변동됨에 따라 교육의 방법과 원리도 전환이 필요하므로
교사는 문제 상황이나 자료만 제공하면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으로 문제를 발견 해결하도록 안내하고 협조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학교와 학습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권을 확대하여 학습자가 스스로 교육과정을 형성해 나갈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라. 학교경영 체제의 재구조화 한다.
학교경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인적자원 개발의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자율성가 다양성의 추구를 강화하는 원리를 반영하여 학교교원조직을 교육과정 중심의 교원조직으로 전환하며, 자율경영 책임을 위한 위임 전결권 확대로 교감, 보직교사의시결정권한을 학대하여 자신의 전문적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선택의 자유와 자율성을 부여 한다
마. 교원의 전문성 신장과 계속적 성장의 지원
교육과정 운영의 중심에 있는 교사들의 역할을 생각해볼 때 ‘교원의 전문성 신장’과 ‘교원의 계속 성장’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교사는 교과에 대한 학문적 깊이와 폭을 넓히고 효과적인 지도방법을 부단히 연구하는 학생중심의 수업을 전개하며, 학생의 전인적 성장발달에 관심을 가지고 이해하도록 전문가적 역량을 스스로 신장 시키는 분위기를 조성하며,
교사 자신이 계속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교내연수 기회를 확대하여 교육활동에 활용 될 수 있는 신지식, 수업기술, 정보, 아이디어, 경험, 조언 등을 나누어 갖도록 한다.
5. 맺으며
기대효과로는 학교장의 교육과정 리더십에 의해 학생, 학부모, 지역사회의 실정에 맞는 다양하고 유연한 교과운영으로 학교교육력이 향상되며, 학교역량이 교육활동에 집중되어 교육공동체 구성원의 교육만족도가 향상될 것이며,
단위 학교의 책무성 면에서는
학교장의 교육과정 리더십에 의해 교직원, 학교운영위원회의 자율역량의 강화는 물론 중간관리자들도 기획력이 향상 될 것이다.
학교경영은 교육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교육과정이 학교현장에서 원활하게 가동될 수 있도록 인적・ 물적・자원을 지원해주고, 목표달성과정을 지도하고 그 결과를 관리하는 활동이다.
학교경영은 교육행정관리 중심의 학교경영에서 탈피하여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다. 창의적인 학교경영을 위하여 교육계획에 학교의 특성과 바람직한 전통, 학교공동체의 요구 등을 민주적으로 수렴하고 수요자 중심의 학교경영, 특색있는 교육과 정보통신활동 교육을 지원하는 교육과정중심의 학교경영, 사회변화에 맞는 교원조직과 시설등의 지원에 힘써야 한다.
교육과정 운영의 목표 달성을 위해
학교장의단독적인 의사결정보다는 폭넓은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을 거치고 보편적인 경영 보다는 차별화되고 학교의 특수성을 살린 장기적 거시적 안목에서 개인과 조직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투입된 만큼 보다 더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역량을 발휘하여야 한다.
28. 지역 수준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제7차 교육과저에서는 ‘교과서 중심’의 학교교육을 ‘교육과정 중심’의 학교교육으로 전환해 나감으로써 의도된 교육과 전개된 교육, 실현된 교육을 최대한으로 접근 시키고자 하였다면 새 교육과정에서는 ‘교육과정 중심’의 학교교육이 정착 단계에 있는 시점에서 교육의 지방 자치시대에 맞게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행・제정적인 지원, 지도, 관리 기능을 제대로 수행 해야 한다.
1. 학교 교육과정 운영 지원
학교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학교장이 노력할 사항은
가. 학교 교육과정 운영이 충실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장학활동 으로 교사의 교육과정 편성・ 운영에 대한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학년별, 그룹별 장학협의회를 활성화하여
교과, 특별활동, 재량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을 모색하여 지원대책을 수립한다.
나.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연수시 현장의 문제점을 연수내용과 협의과제로 삼아 교사스스로 자기반성의 기회를 갖게 하고 교장의 교사들의 요구사항을 수렴하여 활용한다.
다. 특수아, 다문화 가정자녀를 위한 교육기회를 마련하여 운영한다. 특수교육대상자, 학습부진아, 다문화 가정 자녀를 배려하는 교육기회를 마련하여 단위학교에서 특별보충수업을 하거나 특수한 과정을 설치 운영하기 어려울 때는 이웃학교와 공동으로 운영한다.
라.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예산을 편성하며, 학년별 장학협의회, 교과 동아리회, 지역인사, 학부모 단체의 도움을 받아 개발된 자료는 학교홈페이지에 공개한다.
마. 협동학교 및 인근학교와 공동교육과정을 편성하여 교원의 원활한 교류, 학교간 시설과 설비의 공동 활용, 자료의 공동 개발로 다양하고 창의적인 교육과정이 운영 될 수 있도록 학교장이 리더십을 발휘 한다
바. 교사연구 모임을 지원하는 방안의 하나로 교과별, 학년별, 주제별로 자발적이고 집단적인 연구풍토를 조성하고 학교장은 행재・정적 지원을 한다.
사. 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일관성 있는 실천과정을 장학활동이나 학교자체 평가를 통해 확인하여 수업개선과 교육의 질 개선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2.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와 개선
7차 교육과정은 시・도교육청, 지역교육청, 단위학교로 교육과정 결정권을 이양하고
그들 각각의 수준에 맞는 자율권과 재량권을 부여함으로써 ‘주어지는 교육과정’의 틀에 안주해 있기보다는 교육실천이 이루어지는 학교의 정에서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을 특징으로 한다.
가. 교과 교육과정 관련
교가교육가정을 편성・운영함에 있어서 한글 미 해득자, 쉬운 셈하기 부진아담임 책임지도, 국민공통 기본교과 학습시 정보통신기술활용 교육 등은 국가수준에 비해 보다 구체화되거나 추가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단위학교 교육과정을 보면 학년・학급 교육가정 기준으로 기능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도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에서 제시된 영역 중점 내용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데는 소극적이어서 상위지침간의 연계성이 충분히 고려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시・도 단위 교육중점 등을 학교 교육과정에 반영하려는 노력과 함께 학교교육가정 편성에 앞서 상위 지침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내용 검토가정이 필요하다.
나. 수준별 교육가정 편성・운영
단위 학교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은 국가수준 교육과정 기준 및 도교육청 편성・운영 지침의 내용과 일관성을 유지하거나, 핵심내용이 누락되고 기술내용이 명료하지 못하는 등 실제 적용 과정에서 혼란을 초래할 개연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수준별 교육과정과 관련된 쟁점면에서 심화・보충 학습의 추가 시간 확보, 집담편성, 단위시간운영, 심화 보충학습 자료는 국가나 도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에 준해서 편성・운영 되는 경우가 많으며, 심화보충 학습대상자 선정, 특별보충과정 운영, 차상급 단계 진급기준과 평가 범위 등에 관한 사항이 모호하며, 학교에서는 특별 보충과정운영은 단계형 교육과정에서만 적용되는 인식이 팽배하여 보충・심화형 적용교과에 대한 특별보충 과정을 운영하지 못하고 있다.
수준별 분단편성, 수준별 과제 선택, 특별 보충 과정의 참여여부 등에 이르기까지 선택권을 학생에게 일임하기도 하는 것은 학생의 정의적 측면이 고려된 학교교육과정이란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이해 될 수 있으나 ‘학습의 효율성’이란 측면에서 제고되어야 할 부분이다.
3. 교과교육 과정 ‘교과별 세부내용’
가. 성격・목표
단위학교의 교육과정을 보면 기본방향, 성격, 목표를 각각 독립된 형태로 제시하거나 이들을 혼합하여 성격이나 목표, 기본방향등의 이름으로 기술하고 있다.
개념상 엄연한 차이도 인정되므로 올바른 용어 이해를 바탕으로 용어의 개념에 부합하는 내용 진술이 되어야 항 것이다.
교과의 성격이나 목표를 학교 나름대로 재구성하여 제시한 경우가 있는 데 교과목표나 성격이 학교나 가르치는 교사차원에서 수정될 수 있는 것인지 검토가 필요하다.
나. 내용
교과별 지도중점이 너무 포괄적이며, 중점 지도할 내용이 너무 많다는 것이다.
지도 중점이 지도초점으로 기능할 수 있기 위해서는 도 중점지도내용과 연계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보다 간명하고 적량화된 과제설정이 필요하다.
재구성면에 있어서도 과제의 분량이 많고 구체적이지 못하며 지역화 자료, 시사자료, 교수・학습 시기 조절 등에 편중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교과내, 교과간의 통합, 학생수준에 따른 학습량조절 등은 소홀히 취급하고 있다.
단위학교 교과 교육과정에 제시 되어 있는 재구성 내용은 교수・학습 과정에 적용되는 경우는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다. 교수・학습 방법
단위 학교의 교과별 교수・학습 방법관련 내용은 교과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체적으로 국가수준 교육가정 기준에서 제시한 항목들을 선별적으로 인용하고 있다.
교수・학습 방법은 지역이나 학교의 여건에 등에 의해 일률적으로 구분하여 방향을 설정하기 어려울뿐더러 교수・학습의 다양한 요소와 구체적인 내용들을 제한된 분량들을
학교 교육과정에 표현할 수 없다는 점에서 단위학교에서 차별화된 내용을 찾기어렵다.
어떤 형태의 교수・학습 방법이든 초등학교는 교육과정 편성과정에서 지역특성에 기반한 교가교육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구체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제시하고자하는 노력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학교 실정이나 지도 중점 및 재구성 내용에 부합하는 차별화된 교수・학습 방법 제시가 요구된다.
라. 평가
총괄평가의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음에도 초등학교에서 ‘수행평가’ 방식을 선택하고 있다. 학년・학급단위의 수행평가 계획을 보면 암기 의존형 단답형 문항, 학생을 고려하지 않고 평가자와 피험자의 편의가 우선 고려되어 수형평가 본래의 취지를 살릴 수 없는 문항이 많다.
학교 교육가정 속에 제시되어 있는 ‘교가중점’ 및 ‘재구성 내용’이 학년, 학급 교육과정운영 과정에서 관심을 갖지 못하거나 학습한 애용과 평가를 연계시키려는 노력이 부족하다.
마. 수준별 교육과정
단위학교에서 수준별 교육과정 교과별 세부내용은 국가수준 교육과정 기준 및 도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과 일관성을 유지하나 구체화되거나 차별화 된다고 볼 수 없다. 즉 국가수준 교육과정 기준 총론에 제시된 내용이 그 폭과 깊이 면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수준별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5개의 교과에 공통적으로 ‘보충학습’관련 내용이 비중있게 다루어지고 있는 반면 ‘심화학습’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본다.
수준별 교육과정의 근본정신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운영의 묘가 필요하다.
29. 현실요법(생활속에서 적용시켜야 한다)
A. 선택이론
인간이 행동하는 모든 것은 선택이론에 맞추어 있어 인간에게는 누구나 기본적인 5가지 기본욕구가 있다. 생존의 욕구, 사랑 소속의 욕구, 힘과 성취의 욕구,
자유의 욕구, 즐거움의 욕구
1. 사람마다 욕구의 강도는 다르다.
2. 인간의 모든 행동은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고안 된 것
학생들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계속 행동 한다.
예 교실에서 뛰는 아이
친구들과 함께 놀고 싶어 ▶ 사랑과 소속의 욕구 충족시키기 위해서
다른 아이보다 튀고 싶어 ▶ 힘과 성취의 욕구 충족
통제 당하는 것 힘들어 ▶ 자유
3. 어떤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행동을 선택한다.
자기의 행동 목록중에서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선택한다.
부적응 행동도 자기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선택한다.
예 부적응 행동 동기 : 선생님 화내기
수업시간에 재미로 즐거움욕구 충족
누가 화내게 해서 상금타나 힘과 성취욕구
부적응 행동이지만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행동을 선택했다면 이때는 선택이론에 맞추어 학생들을 이해 해야한다.
4. 초등학생 튀는 행동 : 정신없이 뛰는 아이 ▶ 주의 산만 왜 그럴까?
현실적인 요법에서 가볍게 질문하는 방법
가. 네가 지금 원하는 것이 뭐니?
1) 그 행동을 해서 얻을 수 있는 것이 뭐니?
2) 그렇게 뛰어 다니는 행동으로 어떤 것을 얻을 수 있니?
3) 네가 뛰는 행동에는 어떤 의미가 있니?
4) 그렇게 뛰어 다님으로서 얻어진다고 생각하니?
이상과 같이 자세히 질문해 충족시키기 위한 근본욕구를 알아낸다.
나. 그 행동에 대한 평가의 질문을 한다.
1) 선생님에게 인정받고 싶다면서 그런 행동을 할 때 선생님은 너를 어떻게 생각할까?
2) 너의 그 행동에 대해 (선생님은, 친구들은, 아빠는, 엄마는) 어떻게 생각할까?
5. 스스로에 대한 평가적 질문
가. 그 행동들이 네가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게 해줄 것 같니
나. 반성적 답변이 나오면 ▶“예 뛰어서는 안되겠습니다.”
다. 그러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
라. 지금과 다르게 0000할 수 있을까?
마. 지금보다 000 정도로 더 잘 할 수 있을까?
행동에 대한 책임이 나에게 있음을 알고 현명한 선택을 하게 한다.
6. 계획에 대한 평가
가. 간단한 계획 : 아무 생각없이 쉽게 지킬 수 있는 것부터 출발하기
예 5분간 가만히 있기
가만히 있으면 문제가 없는 데 5분, 10분 있도록 행동목록 제시하고 약속한다.
나. 구체적 계획 : 몇 시간째, 00과목 수업참관 5분동안 간만히 있어 볼래
다. 즉각적 계획 : 지금 즉시
라. 행위자에 기초한 행동 계획 : 자기 스스로 실천하기
• 가만히 있다가 뛰고 싶으면 어떻게 할래
• 친구보고 때리라 할 것 입니다. 그건 안되!
• 행위자 스스로 어떤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행동을 한다는 것이다.
명령 한 행동을 선택하도록 교사는 도와준다.
교사 • 그 행동(아동이 선택한)을 선생님은(친구, 부모) 어떻게 생각할까?
아동 • 잘못 했어요, 친구들이 좋지 않게 생각해요,
교사 • 지금의 행동을 스스로 생각해보아도 조금은 다르게 했으면 느껴진다면
무엇을 다르게 해볼 수 있겠니?
B. 현실요법
1. 욕구탐색
가. 친구, 선생님, 엄마, 아빠는 어떻게 해주기를 바라는가?
나. 친구, 선생님, 엄마, 아빠가 원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 학년초에 이런 탐색을 해두면 학생지도에 도움이 된다.
2. 행동탐색 : 평상시 학생과 수시로 3-5분 대화하기
교사 : 요즘 어떻게 하고 지내니
아동 :
교사 : 몇 시간 공부하니, 무슨 과목 위주로 공부하니, 휴식은 어떻게 하니. 친구들 이랑 어디 다니니 ,꿈이 뭐니, 어떤 사람이 되고 싶니 등
아동 : 의사가 되겠습니다.
교사 : 의대 가고 싶은데 지금 너의 행동은 어떻지?
3. 평가적 질문
가. 네가 원하는 것, 부모가 원하는 것, 학교가 원하는 것에 대해 어떤행동을 하고있는지 구체적으로 질문한다.
교사 : 그 행동들이 원하는 것을 얻을수 있는데 되니
교사 : 그 행동들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는데 충분하니.
아동 : 모자라는 것 같다. 계획하기 시도
아동 : 충분하다. 잘되고 있다고하면 어깨 툭치면서 격려지지 인정해준다.
사례1. 초등학교에서 튀는 아이, 주의 산만한 아이들, 한곳에 집중못하고 호기심많고 쉽게 실증내는 아이
A 놀이 하다가 B놀이 하다가 C놀이 하다가 즉 한가지 놀이를 오래 못함
교사 : 너는 놀이를 이것 좀, 저것 좀 하는 데 너는 어떻게 생각하니
학생 : 싫증이나서 A보다 B가 재미있어서
함께 노는 친구 때문 (친구가자기따라하는 것을 싫어함) 전부다 하고 싶어서
이럴 때 어떤욕구를 충족시키나 탐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친구 만나기 좋아서 -- 사랑과 소속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향상 이렇게 놀아요 놀이를 제일 많이 알아요 -- 힘과 성취의 욕구
제가 놀면 아이들이 몰려와서 다른 놀이를 하고 싶어요 --자유
교사 : 너는 친구들과 어울려 노는 것보다 혼자 노는 것이 좋은가 보다.(수용,공감)
아동 : 혼자노는 것이 좋아요
교사 : 엄마는 (아빠는, 선생님은) 어떻게 생각할까?
교사 : 지금 아이들과 노는 것이 싫어서 그러니(다른 때도 혼자 노는 것이 좋으니)
아동 : 평소에도 혼자 노는 것이 좋아요
교사 : (사회성, 더불어 사는 것 가르치고싶다면) 엄마는 어떻게생각 할까?
학생 : 엄마 아빠는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한다고 걱정해요
아이들이랑 놀고 싶은 데 잘 안되요. (문제가 있다)
교사 : 너도 아이들이랑 놀고 싶은 것이로구나 힘내
학생 : 예
교사 : 아이들이랑 놀기 위해 너는 어떻게 행동했니?
아동 : 없어요
교사 : 진짜 같이 놀고 싶으면 애들이오면 도망가면 같이 놀수 있겠니?
아동 : 없어요! “아니요”
교사 : 지금과 다르게 어떻게 해야 되겠니?
아동 : 아이들이랑 같이 놀아 볼께요
교사 : 참 좋은 생각이구나
교사 : 같이 놀아도 될만한 친구가 있니? 아동 : 예
교사 : 누구니 아동 : 000
교사 : 그 아이가 함께 놀자고 하면 놀 수 있겠니 아동 : 예
교사 : 너가 먼저 놀자고 할 수 있겠니 아동 : 예, 잘 모르겠는 데요
교사 : 너가 생각하기에는 그 친구가 놀 것 같으니 아동 :
교사 : 너가 먼저 이야기하는 것이 좋겠니? 그 친구가 먼저 이야기하는 것이 좋겠니?아동 : 내가 먼저 이야기 할께요
교사 : 언제쯤 해 볼래 아동 :
교사 : 어떤 분위기에서, 어떤 상황에서 이야기 해볼래
아동 : 0000
교사 : 지금 나에게 친구라고 생각하고 연습 해볼래
아동 : 주저하면, 전연 생각하지 않으면
교사 : 내가 생각하기에는 괜찮은 방법이하나 있는 데 내이야기 한번 들어볼래(조언)
아동 : “예”, 이야기 해주세요
교사 : 점심시간에 급식 받아서 그 아이 옆에 가서 앉아 볼래(앉을 수 있겠니)
아동 : “예”,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교사 : 밥먹으면서 자연스럽게 이야기 주고받기 해 볼래 어때
아동 : 좋은 방법이네요, “예”
아이들이 선택할 수 있는 행동목록을 함께 생각해주고 어떤 것이 가장 효율적인지 도와준다.
사례2. 고3생 목사아들이 친구하고 지금까지 노래방, 비디오방, 만화방, 술집에도 가보지 못했습니다. 순진함과 착함 때문에 못가 봐서 호소하고 있다.
교사 : 그곳에 못가본 이유가 있니
학생 : 저의 아버지가 목사님이거든요 중 1때부터 부모님이 니가 어떤 행동을 하든 알 아서 하되 목사의 아들이라응 것을 항상 기억해라
그는 항상 목사의 아들이라는 생각으로 이러 행동을 해도 되나 생각하면서 친구들에게 핑게 대고 친구따라 다니지 못했다.
친구들과 함께 못해봤다는 좌절감 사랑과 소속의 욕구, 자유의욕구
교사 : 칙둘과 함께 놀고 싶은데 가지 못하고 핑계 대느라고 정말 힘들었겠다.
학생 : 힘들었고 아버지가 원망스러워요
교사 : 지금 이순간 수능시험 다 되었는데 큰 문제가 되었는데 너가 원하는 것이뭐니
학생 : 제가 답답해서 그런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어요
교사 : 그런 저런 일 때문에 고통스럽고 힘든 속마음을 나눌 친구가 업는 모양이구나
학생 :000
교사 : 지금부터 어떻게 했으면 좋겠니
학생 : 친구를 한명 사귀었으면 좋겠어요
교사 : 한 두 번 만난다고 친구가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고 10년을 살아도 곳마음을 털어놓지 않으면 친구라고 여기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
교사 : 니 생각으로 이 정도면 괜찮다고 생각하는 아이가 있니 학생 : “예”
교사 : 그 애는 이 사실을 알고 있니
학생 :아니오
교사 : 친구하고 싶으면 너의 속마음을 털어놓아야 하는 데 이순간의 고비를 넘기기 위해 너 혼자 생각만 하고 있으면 친구가 될 수 있겠니.
교사 : 한 번 만나 이야기 해 보겠니 학생 :
교사 : 좋은 생각이다. 언제만나서 이야기 해 볼래
학생 : 내일
교사 : 어디서
학생 : 집에 가다가 놀이터에서 해 볼께요
교사 : 지금 내가 친구라고 생각하고 이야기해 볼래
학생 : 00야 사실 이런 것 때문에 속마음을 나눌 친구를 사귀고 싶은데 내생각으로 너가 신비롭고 믿음직하며 나의 마음을 이해 해줄 것 같은 데 친구가 되어 주겠니?
교사 : 그렇게 말하면 친구가 뭐라고 할 것 같으니
학생 : 받아줄 것 같아요
교사: 내가 궁금해서 그러고 너가 제대로 이야기했나 싶어서 학교에 와서 이야기해도 되는데 친구한테 이야기하고 미리 전화 한번 해 줄 수 있겠니
사랑과 소속의 욕구충족을 위한문제는 친구만나는 이야기 나누어 보겠다.
효율적이든 비효율적이든 행동을 선택해보지 않았기 때문에 욕구충족이 없었다.
도벽 아동 친구와 유흥비 때문 이라면 : 사랑의 욕고 충족을 위해
빵, 우유, 음료사먹기 때문이라면 : 생존의 욕구 충족을 위해
우리나라 최고의 도둑이 되겠다면 : 힘과 성취의 욕구
학교에서 어떤 문제이든지 아이들이 충족시키고 싶은 욕구가 있다. 그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탐색을 하는 것 그런 행동을 통해서 어떻게 해 왔는가? 6하 원칙에 의해 구체적 탐색을 하면 평가하기 쉽다.
자료제공 : 롤 플레이 상담중에서 최종환
'* 관리자 코너 > 2004 교감(교장)이야기와 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 서호중학교...교장이 누구? 그런 악조건에서... (0) | 2009.09.25 |
---|---|
[스크랩] 교사에게 “누나 사귀자”고 하는 세상 (0) | 2009.09.15 |
2009년 8월 29일 이임사(정일국) (0) | 2009.08.30 |
2009.09.01 경기도 관리자 인사발령 현황 (0) | 2009.08.30 |
[스크랩] 학교장의 주요 직무 내용 (0) | 2009.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