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관리자 코너/교육소식

수석교사제 정착을 위한 제언

수석교사제 정착을 위한 제언

  “내년 수석교사 시범운영 규모가 350명(±25명)으로 결정되었다”는 한국교육신문(09.12.7) 기사를 보았다. 2008년 3월부터 2년째 시행되어온 수석교사에겐 교과부장관 인증서와 함께 월 15만 원의 연구활동지원비가 지급되고 있다. 또 학교실정에 따라 20%의 수업시수 경감혜택도 주어지고 있다.

  이번에 달라진 점은, 신문기사에 의하면 수석교사의 주당 수업시수를 40%정도 감축하도록 규정한 것이다. 교과부가 주당 초15, 중12, 고10시간을 기준으로 수석교사의 수업을 줄이되, 시간강사 대체비를 지원하기로 했다는 것.
  수석교사가 하는 일은 대략 이렇다. 소속 학교 수업외에 학교ㆍ교육청단위에서의 수업코칭, 현장연구, 교육과정ㆍ교수학습ㆍ평가방법 개발 보급, 교내연수 주도, 신임교사 지도 등이다. 또 1급 정교사 자격연수 강의 등 교과교육관련 외부활동 기타 현장수요에 필요한 추가적인 역할도 한다.

  사실 수석교사제는 승진을 포기했고, 교육경력 26째인 나 같은 교사들에게 꽤 구미가 당기는 제도이다. 수석교사제는 능력이 부족했든 이런저런 로비에 약했든, 아니면 무슨 또 다른 이유가 있든 하늘의 별따기 같은 승진경쟁에서 열외인 많은 교사들을 위한 하나의 돌파구임은 분명해 보인다.

  그러나 꼼꼼히 살펴보니 아쉬운 점이 있다. 수석교사의 자격을 “탁월한 교과 및 수업전문성을 다른 교사와 공유할 수 있는 의지와 역량을 가진 자”로 제한한 점이 그렇다. 다시 말해 교과 및 수업전문성만으로 한정한 점이 아쉬운 것이다.

  물론 교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뭐니뭐니해도 학생들 가르치는 일이다. 그런 점에서 교과 및 수업전문성을 기준으로 한 것은 온당하지만, 교사는 학원강사들처럼 교과수업만 하는게 아니다. 그중 하나가 문예를 비롯한 예체능 등 특기ㆍ적성지도이다.

  가령 국어과를 예로 들어보자. 국어교사는 국어교과 수업외 문예지도를 한다. 초등학교에서도 학급문집 등 오히려 중ㆍ고보다 더 활성화되어 있는 걸로 알고 있다. 고교의 경우 교지라든가 학교신문 제작지도를 한다. 문제는 그런 ‘영양가 없는’ 일들을 맡지 않으려는 교사들이 많다는데 있다.

  바로 수석교사가 필요한 이유이다. 그러니까 그 방면의 노하우를 지닌 수석교사가 수업코칭 등 본래의 전반적 역할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각 시․도 별로 1~2명쯤 특기․적성교육에서의 탁월한 교사를 수석교사에 포함시킨다면 도입취지에도 어긋나지 않고 그 효과 또한 크리라 생각한다.

  실제로 지난 2001년 전국학교신문․교지콘테스트 학교신문 분야에서 교육부총리 지도교사상을 받은 나는 전라북도 교육연수원으로부터 강사로 초청 받아 1정 교육 국어교사들에게 강의를 한 바 있다. 또 이웃학교의 학교신문․교지 담당 새내기 국어교사들을 직접 지도하여 그들이 학교신문과 교지를 창간하거나 제작하게 한 적도 있다. 

  40% 수업감축 방안이 문제점을 보완하는 쪽으로 정해진거라 생각되지만,그러나 수석교사제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아쉬운 점이 있다. 수업시수 40% 경감에 따른 후속대책 미비가 그것이다. 시간강사비 지원을 말하지만, 경감되는 40%의 수업을 소속 학교 동료교사들이 고스란히 떠안게 된다면 수석교사제는 성공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 임기 2년은 너무 짧다. 역시 시범실시의 한시적인 것이라 생각하지만, 자격에 큰 변동이 생기지 않는 한 일단 임용하면 임기 2년은 보장해야 한다. 수석교사가 무슨 장관은 아니지만, 어떤 일을 하고 성과를 내기에 2년은 너무 짧은 기간이니까.

입력 : 2010-01-13 오전 11:28:48 출고 : 2010-01-13 오후 3:12:00
e-리포터 장세진 군산여자상업고등학교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