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꼭 ‘학교 권위’ 바로 세우자
학교‧교사 권위 되찾아 바른 인성 교육해야
권위 실종 학교의 정작 비극 주인공은 ‘학생’
2011년 새해를 맞이하는 우리의 감회가 새롭다. 새해에 뜨는 해라고 해서 작년에 떴던 해와 외견상으로는 다를 것 같지 않으나, 사실은 다르다. 새해에 뜨는 태양이 작년과 달리 새로울 수밖에 없는 것, 바로 그것이 자연의 신선함일 터이다. 새해의 태양은 지나간 것을 보내고 새 것을 맞는 ‘송구영신(送舊迎新)’의 해요, 또 옛것을 보존하면서도 새로움을 추구하는 ‘온고지신(溫故知新)’의 해다.
2011년 새해를 맞이하여 왜 교육계의 절실한 어젠다와 화두가 없으랴. 흔히 교육계의 어젠다는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라 하여 백년을 내다보며 계획과 실천방안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해야 함을 강조한다. 그러나 곰곰이 생각해보면 백년이라는 것도 결국은 일 년 일 년이 켜켜이 쌓여 백년이 되는 것이 아니겠는가. 그런 점에서 금년 일 년의 계획을 이른바 ‘일년지소계(一年之小計)’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의미가 결코 사소한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금년 우리 교육계의 숙제는 무엇일까. 올 한 해 동안 우리가 학교교육을 통해 고민하고 풀어가야 할 숙제가 있다면, 그것이 무엇인가. 한 마디로 말해 우리 교육계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절실한 과제는 ‘권위(權威, authjority)’를 바로 세우는 일이다. 학교의 권위 이야기를 하면, 혹시 권위주의를 떠올리거나 혹은 소통이 없고 위계질서로 이루어지는 ‘닫힌 사회’의 모습을 떠올리는 사람도 있겠으나, 사실은 그것이 아니다. 권위란 사뭇 엄숙하고 소중한 그 어떤 가치다. 우리가 예의 없이 살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권위 없이는 살수 없다.
생각해 보면 그동안 우리사회가 한편으로는 발전과 번영을 거듭하면서도 잃어버린 것이 있었다. 바로 엄숙함이다. 우리는 어디에 가서 엄숙함을 찾을 수 있으랴. 결혼식에 가더라도 항상 떠들썩하고 장례식에 가서도 그리 큰 엄숙함은 찾아볼 수 없다. 당연히 학교에서도 엄숙함은 잃어버린 지 오래다. 선생님이 공부를 가르치고 학생들이 배우는 교실에서도 엄숙함은 실종되었다. ‘잠자는 교실’이야말로 그 생생한 사례일 터이다. 또 선생님이 일탈된 행동을 하는 아이를 지도하고 타이르는 데서도 반항과 불복종은 있을지언정 엄숙함은 찾아볼 수 없다. 그렇다면 형설의 공을 기리는 졸업식에서 엄숙함을 찾아볼 수 있는가. 우리학교 졸업식이 엄숙함을 잃어버린 지는 한 두 해가 아니다. 학부형이 선생님을 찾아와 자녀문제에 관해 의논을 할 때에도 진정성과 엄숙함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더구나 최근에는 이 엄숙함에 도전하는 또 다른 현상이 새롭게 불거졌다. 서울과 경기도 등 일부 교육청에서 학생체벌을 금지하는 인권조례 등이 발표되면서 학교와 선생님은 학생들로부터 권위를 가진 존재로 인정받기가 더욱더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 잘못된 행동을 야단치고 타이르는 선생님이 오히려 학생들로부터 봉변을 당하고 심지어 폭력까지 감수해야하는 선생님으로 전락하고 ‘매 맞는 선생님’까지 나오게 되었으니, 이런 상황에서 무슨 말을 할 수 있으랴. 참으로 참담하고 암울한 느낌이다. 학교와 선생님의 권위가 추락하는 마지막 지점은 과연 어디인가.
학교와 선생님의 권위가 살아나야하는 것은 학교와 선생님이 편안한 입지를 다지기 위함이 결코 아니다. “선생님의 그림자라도 밟지 말아야 한다”는 준칙이 학교에서 다시 살아 꿈틀거려야 한다는 것은 선생님이 제대로 된 대접을 받아야 한다는 차원에서가 아니다. 그보다는 판단력이 미숙하고 인격을 도야해야할 단계에 있는 미성년자들을 올바로 인도하고 바르게 인성을 키우기 위해서 요구되는 것이 학교와 선생님의 권위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마치 가정에서 부모의 올바른 가르침이 자녀들에게 내면화되기 위해 부모의 권위가 절실히 필요한 이치와 마찬가지다. 우화에 나오는 청개구리 이야기에 우리 모두 친숙하지 않은가. 동쪽으로 가라면 서쪽으로 가고 남쪽으로 가라면 북쪽으로 가는 등, 사사건건 엄마 개구리가 시키는 것과는 항상 반대로만 행동하는 아기 청개구리가 어떻게 올바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인가. 권위를 갖지 못한 엄마 개구리와 권위를 인정하지 못한 자녀 개구리는 모두 가정교육 실패의 비극이 아닐 수 없다.
학교 사회도 이와 조금도 다를 게 없다. 선생님이 학생들로부터 존경을 받지 못하고 선생님의 지시, 가르침 하나하나가 학생들로부터 조롱거리와 비아냥의 대상이 되고 심지어 선생님이 학생들로부터 욕설을 듣고 매까지 맞는 권위실종의 학교현장에서 정작 비극의 주인공은 학생들이다.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학교와 선생님으로부터 어떻게 학문을 배울 수 있으며 또 인격을 도야할 수 있으랴. 또한 그런 그들이 커서 우리 사회의 주인공이 될 때 우리사회의 품격과 질은 어떻게 되겠는가. 학교와 선생님의 권위회복이 교육의 과제이면서도 시대적 과제가 되어야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금년이야 말로 학교와 선생님의 실종된 권위를 되찾는 엄숙한 해가 되어야 한다. 학교와 선생님의 권위가 바로 설 때 비로소 교육의 권위가 바로 설 수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우리 학생들의 인격과 인성도 바로 서게 될 것이다./논설위원, 서울대 윤리교육과 교수 박효종
권위 실종 학교의 정작 비극 주인공은 ‘학생’
2011년 새해를 맞이하는 우리의 감회가 새롭다. 새해에 뜨는 해라고 해서 작년에 떴던 해와 외견상으로는 다를 것 같지 않으나, 사실은 다르다. 새해에 뜨는 태양이 작년과 달리 새로울 수밖에 없는 것, 바로 그것이 자연의 신선함일 터이다. 새해의 태양은 지나간 것을 보내고 새 것을 맞는 ‘송구영신(送舊迎新)’의 해요, 또 옛것을 보존하면서도 새로움을 추구하는 ‘온고지신(溫故知新)’의 해다.
2011년 새해를 맞이하여 왜 교육계의 절실한 어젠다와 화두가 없으랴. 흔히 교육계의 어젠다는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라 하여 백년을 내다보며 계획과 실천방안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해야 함을 강조한다. 그러나 곰곰이 생각해보면 백년이라는 것도 결국은 일 년 일 년이 켜켜이 쌓여 백년이 되는 것이 아니겠는가. 그런 점에서 금년 일 년의 계획을 이른바 ‘일년지소계(一年之小計)’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의미가 결코 사소한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금년 우리 교육계의 숙제는 무엇일까. 올 한 해 동안 우리가 학교교육을 통해 고민하고 풀어가야 할 숙제가 있다면, 그것이 무엇인가. 한 마디로 말해 우리 교육계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절실한 과제는 ‘권위(權威, authjority)’를 바로 세우는 일이다. 학교의 권위 이야기를 하면, 혹시 권위주의를 떠올리거나 혹은 소통이 없고 위계질서로 이루어지는 ‘닫힌 사회’의 모습을 떠올리는 사람도 있겠으나, 사실은 그것이 아니다. 권위란 사뭇 엄숙하고 소중한 그 어떤 가치다. 우리가 예의 없이 살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권위 없이는 살수 없다.
생각해 보면 그동안 우리사회가 한편으로는 발전과 번영을 거듭하면서도 잃어버린 것이 있었다. 바로 엄숙함이다. 우리는 어디에 가서 엄숙함을 찾을 수 있으랴. 결혼식에 가더라도 항상 떠들썩하고 장례식에 가서도 그리 큰 엄숙함은 찾아볼 수 없다. 당연히 학교에서도 엄숙함은 잃어버린 지 오래다. 선생님이 공부를 가르치고 학생들이 배우는 교실에서도 엄숙함은 실종되었다. ‘잠자는 교실’이야말로 그 생생한 사례일 터이다. 또 선생님이 일탈된 행동을 하는 아이를 지도하고 타이르는 데서도 반항과 불복종은 있을지언정 엄숙함은 찾아볼 수 없다. 그렇다면 형설의 공을 기리는 졸업식에서 엄숙함을 찾아볼 수 있는가. 우리학교 졸업식이 엄숙함을 잃어버린 지는 한 두 해가 아니다. 학부형이 선생님을 찾아와 자녀문제에 관해 의논을 할 때에도 진정성과 엄숙함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더구나 최근에는 이 엄숙함에 도전하는 또 다른 현상이 새롭게 불거졌다. 서울과 경기도 등 일부 교육청에서 학생체벌을 금지하는 인권조례 등이 발표되면서 학교와 선생님은 학생들로부터 권위를 가진 존재로 인정받기가 더욱더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 잘못된 행동을 야단치고 타이르는 선생님이 오히려 학생들로부터 봉변을 당하고 심지어 폭력까지 감수해야하는 선생님으로 전락하고 ‘매 맞는 선생님’까지 나오게 되었으니, 이런 상황에서 무슨 말을 할 수 있으랴. 참으로 참담하고 암울한 느낌이다. 학교와 선생님의 권위가 추락하는 마지막 지점은 과연 어디인가.
학교와 선생님의 권위가 살아나야하는 것은 학교와 선생님이 편안한 입지를 다지기 위함이 결코 아니다. “선생님의 그림자라도 밟지 말아야 한다”는 준칙이 학교에서 다시 살아 꿈틀거려야 한다는 것은 선생님이 제대로 된 대접을 받아야 한다는 차원에서가 아니다. 그보다는 판단력이 미숙하고 인격을 도야해야할 단계에 있는 미성년자들을 올바로 인도하고 바르게 인성을 키우기 위해서 요구되는 것이 학교와 선생님의 권위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마치 가정에서 부모의 올바른 가르침이 자녀들에게 내면화되기 위해 부모의 권위가 절실히 필요한 이치와 마찬가지다. 우화에 나오는 청개구리 이야기에 우리 모두 친숙하지 않은가. 동쪽으로 가라면 서쪽으로 가고 남쪽으로 가라면 북쪽으로 가는 등, 사사건건 엄마 개구리가 시키는 것과는 항상 반대로만 행동하는 아기 청개구리가 어떻게 올바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인가. 권위를 갖지 못한 엄마 개구리와 권위를 인정하지 못한 자녀 개구리는 모두 가정교육 실패의 비극이 아닐 수 없다.
학교 사회도 이와 조금도 다를 게 없다. 선생님이 학생들로부터 존경을 받지 못하고 선생님의 지시, 가르침 하나하나가 학생들로부터 조롱거리와 비아냥의 대상이 되고 심지어 선생님이 학생들로부터 욕설을 듣고 매까지 맞는 권위실종의 학교현장에서 정작 비극의 주인공은 학생들이다.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학교와 선생님으로부터 어떻게 학문을 배울 수 있으며 또 인격을 도야할 수 있으랴. 또한 그런 그들이 커서 우리 사회의 주인공이 될 때 우리사회의 품격과 질은 어떻게 되겠는가. 학교와 선생님의 권위회복이 교육의 과제이면서도 시대적 과제가 되어야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금년이야 말로 학교와 선생님의 실종된 권위를 되찾는 엄숙한 해가 되어야 한다. 학교와 선생님의 권위가 바로 설 때 비로소 교육의 권위가 바로 설 수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우리 학생들의 인격과 인성도 바로 서게 될 것이다./논설위원, 서울대 윤리교육과 교수 박효종
출처 : 이철우사랑방
글쓴이 : 이철우 원글보기
메모 :
'* 관리자 코너 > 교육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국공립중학교장 동계연수 (0) | 2011.02.15 |
---|---|
체벌 대체 장치 마련 절실하다|교육자료실 (0) | 2010.12.28 |
[스크랩] 교사폭력보다 학생폭력이 더 많은 현실 (0) | 2010.12.27 |
[스크랩] 교육연구년교사 500명으로 확대 (0) | 2010.12.27 |
´초등생이 기가 막혀´ 싸움 말리던 여교사 폭행학부모는 되레 큰소리… (0) | 2010.12.17 |